경남지역의 산

산청 지리산 천왕봉

정헌의 티스토리 2025. 6. 10. 21:55

■산청 지리산 천왕봉

 

딸과 아들이 초등학교 5학년, 3학년때 지라산 천왕봉에 오른적이 있습니다. 세월이 흘러 딸이 결혼을 하였고 손녀가 현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중입니다. 옛 지리산 등산의 기억이 있어서인지 지라산 등산을 한다기에 가족이 모두 함께 하였습니다. 중산리에서 법계사를 거쳐 천왕봉에 오른 후 장터목 산장을 거쳐 중산리로 내려오는 코스는 일반 성인의 경우 보통 7~8시간 소요됩니다. 오늘은 그보다는 더 많은 시간을 감한하여 어쩜 마지막이 될 지도 모르는 지리산 천왕봉을 찾았습니다.

 

▷일정

산청 중산리 탐방안내소 - 순두류(자연학습원 / 셔틀버스) - 법계사 - 천왕봉 - 장터목산장 - 캘바위 - 중산탐방안내소 

/ 2025.  6.  6.

 

 

▷탑방후에

 

 

 

 

 

 

 

이곳은 순두류 셔틀버스 종점입니다.

중산리 지리산탐방안내소가 있는 상부 주차장에서 매 정시에 순두류로 오르는 25인승 셔틀버스가 운행됩니다.

물론 주말 등 탐방객 수가 많 을때는 증편하여 2대가 운행하기도 합니다. 차비는 1인 2,000원입니다.

 

 

 

 

 

순두류 자연학습원 입구에서 출발합니다.

이 코스는 지리산 천왕봉에 오르는 가장 가까운 코스이기도 합니다. 순두류에서 법계사 까지 2.8km, 법계사에서 천왕봉 정상까지 2.0km, 합해서 4.8km쯤 됩니다.

 

 

 

 

 

이곳 자연학습원 입구에서 법계사 까지는 2.8km를 알리고 있습니다.

 

 

 

 

 

 

 

 

 

 

 

 

 

 

 

 

 

 

 

 

 

 

 

 

 

 

 

 

 

 

 

 

 

 

 

 

 

 

 

 

 

 

 

 

 

 

 

 

 

 

 

 

 

 

 

 

 

 

 

곰출현 주의

 

 

 

 

 

 

 

 

 

 

 

광덕사교

 

 

 

 

 

 

 

 

 

 

 

 

 

 

 

 

 

로타리 대피소에 도착하였습니다.

칼바위를 거처 중산리 탐방안내소까지 3.3km를 알리고 있습니다. 순두류에서 이곳까지 2.7km이니 거리상으로 보면 0.5km 가까운 셈입니다민 난이도를 보면 훨씬 수월한 코스입니다.

 

 

 

 

 

초등학생때면 인내력에서 차이가 있지만 웬만한 성인만큼 걸음이 가볍습니다.

 

 

 

 

 

로타리대피소는 현 신축중에 있습니다.

 

 

 

 

 

법계사를 둘러보기로 합니다.

 

 

 

 

 

과거 몇번 법계사를 찾았을 땐 오르는 길이 제법 경사이고 약간 거리도 있었는 것으로 기억되는데 오늘은 가깝습니다.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맥을 차단하기 위해 박았던 쇠말뚝이 이렇게 생겼습니다.

 

 

 

 

 

이곳 법계사 까지는 근년에 다녀간 적이 있습니다.

 

 

 

 

 

적멸보궁

 

법계사 연혁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해발 1450m) 위치한 법계사는 서기 544년(신라 진흥왕 5년)에 인도에서 건너오신 연기조사께서 부처님 진신사리를 봉안하면서 창건하셨다.

법계사가 흥하면 일본의 기운이 쇠퇴한다는 전설 때문에 고려말 왜적 아지발도에 의해 소실되었던 것을 서기 1405년(조선 태종5년) 을유년에 벽계정심선사께서 중창하였다. 

그 후 임진왜란과 서기 1910년 한일합방때 또 다시 왜인에 의해 불타고, 서기 1938년(무인년)에 청신녀 신순덕씨에 의해 중건되었으나 6.25동란때 다시 화재를 당하여 그간 초라한 초옥으로 삼층석탑을 지켜오다 불자와 신도님들의 발원으로 현 대웅전과 산신각을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옛 유물로는 부처님 진신사리탑인 3층 석탑이 남아있을 뿐이다.

<현지 법계사 주지님의 안내문에서>

 

 

 

 

 

적멸보궁 앞 마당이 좁아 정면에서는 건물 전체가 나오도록 사진촬영은 불가합니다.

 

 

 

 

 

적멸보궁이어서 법당내 불상은 없습니다.

따라서  부처님 자리엔 진신사리탑인 삼층석탑을 향하고 있을 겁니다.

 

 

 

 

 

삼층석탑으로 오르는 길에 성모상을 새로 조성하였습니다.

 

 

 

 

 

성모상 인근에서 바라본 3층 석탑

 

 

 

 

 

 

 

 

 

 

 

 

 

 

 

 

 

산신각

 

 

 

 

 

산신각 내부입니다.

 

 

 

 

 

 

 

 

 

 

 

 

 

 

 

 

 

법계사 삼층석탑 / 보물 제 473호

 

이 석탑은 법계사의 산신각 앞에 있는 높이 3.6m의 거대한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이용한 이형석탑이다. 기단부는 자연암반의 윗면을 삼단으로 가공하여 암반을 수평으로 고르고 그 위에 몸돌을 얹었다. 자연암반을 기단석으로 이용한 예는 신라 이래로 유행하였는데 이 탑처럼 하부 기단부를 모두 생략한 예는 많지않다. 지붕돌은 두텁고 지붕 주름은 각 층이 삼단으로 되어 있으며, 후대에 만들어 올린 것으로 보여지는 포탄형의 석재가 상륜부에 얹혀져 있다. 전체적인 모습과 만든 수법으로 볼 때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석탑의 높이는 2.5m이다.

법계사는 544년(진흥왕5) 연기조사가 창건한 사찰이라고 전하고 있으나 지금은 삼층 석탑만이 남아있다.

<현지 안내문에서>

 

 

 

 

 

 

 

 

 

 

 

 

 

 

 

 

 

극락전

 

 

 

 

 

극락전 내부입니다.

 

 

 

 

 

법계사를 둘러보고 내려와 정상으로 향합니다.

이곳에서 정상까지 2.0km를 알리고 있습니다.

 

 

 

 

 

 

 

 

 

 

 

 

 

 

 

 

 

 

 

 

 

 

 

 

 

 

 

 

 

 

 

 

 

 

 

 

 

 

 

 

 

 

 

 

 

 

 

 

 

 

 

 

 

 

 

 

 

 

 

 

 

 

 

 

 

개선문

 

 

 

 

 

 

 

 

 

 

 

 

 

 

 

 

 

 

 

 

 

 

 

 

 

 

 

 

 

구상나무로 생각됩니다만 대부분 고사했습니다.

 

 

 

 

 

 

 

 

 

 

 

 

 

 

 

 

 

 

 

 

 

 

 

 

 

 

 

 

 

천왕샘까지 올라왔습니다.

 

 

 

 

 

천왕봉으로 오르는 마지막 계단인 셈입니다.

오르막이 상당하여 땀깨나 흘려야 할 곳입니다.

 

 

 

 

 

지나 올라온 곳입니다.

 

 

 

 

 

 

 

 

 

 

 

천왕봉 정상에 올랐습니다.

 

 

 

 

 

 

 

 

 

 

 

 

 

 

 

 

 

 

 

 

 

 

 

 

 

 

 

 

 

 

 

 

 

 

 

 

 

 

 

 

 

 

 

 

 

 

 

 

 

 

 

 

 

장터목 산장쪽으로 내려갑니다.

 

 

 

 

 

정터목 코스는 제석봉 고사목과 새로 심은 구상나무 군락을 포함하여 멋진 경관을 보이는 곳이어서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코스입니다. 

 

 

 

 

 

 

 

 

 

 

 

 

 

 

 

 

 

 

 

 

 

 

 

 

 

 

 

 

 

 

 

 

 

 

 

 

 

 

 

 

 

 

 

 

 

 

 

 

 

 

 

 

 

 

 

 

 

 

 

 

 

 

 

 

 

 

 

 

 

 

 

 

 

 

 

 

 

 

 

 

 

 

 

 

 

 

 

 

 

 

 

 

 

 

 

 

 

 

 

 

 

 

 

 

 

 

 

 

 

 

 

 

 

 

 

 

 

 

 

 

 

 

 

 

 

 

 

 

 

 

 

 

 

 

 

 

 

 

 

 

 

 

 

 

 

 

 

 

 

 

 

 

 

 

 

 

 

 

 

 

 

 

 

 

 

 

 

 

 

칼바위로 내려왔습니다.

이후 중산리 주차장으로 내려와 늦은 산행을 마무리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