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특회

산청 동의보감촌, 남명선생 사적지, 남사예담촌, 겁외사.

정헌의 티스토리 2015. 4. 15. 23:47

          ■ 산청  동의보감촌, 남명선생 사적지, 남사예담촌, 겁외사.

 

              농특회 상반기 모임을 경남 산청에서 가졌다.

              음식과 잠지리,

              불편하고 부족한 점보다는 좋은 기억을 더 많이 했으면 싶다.

             

 

          ▷ 일시 : 2015년 4월 11일- 12일

 

          ▷ 일정

              산청 동의보감촌 - 동의약선관 (석식) - 한방자연휴양림(숙박) -

              삼거리식당(조식) - 남명선생 유적지 - 남사예담촌 - 겁외사 - 춘산식당(중식) - 해산

   

 

 

 

          ▷ 모임 후에

               황색 글씨의 해설은 산청군청 문화관광과 자료임을 밝혀둡니다.

 

 

 

              ▣ 동의보감촌

 

 

              아래의 동의보감촌 사진 몇장은 2013년 9월 엑스포행사때 촬영한 것이다.

 

 

 

             산청군 금서면 특리에 위치한 동의보감촌은 2013년 9월 산청세계전통의학엑스포 행사가 열렸던 곳이다.

               행사가 끝나고, 

               그 자리는 한방테마공원이 되었다.

 

 

 

 

 

 

 

 

 

 

      지리산과 동의보감의 고장,

      산청은 당대 최고의 명의인 류의태 선생과 허준 선생, 조선후기에 중국에까지 명성을 떨쳤던 초삼, 초객 형제 등

      명의들로 이름난 전통한방의 본 고장이다. 

      또 지리산 자락에서 자생하는 약초는 그 효능이 탁월해서 그 우수성이 널리 알려졌다.

      이런 전통을 이어받아 산청군에서 금서면 특리 일원에 산청 한의학박물관을 짓고 매년 한방약초축제를 열어,

      동의보감촌을 조성하는 등 산청을 한방약초, 한의학의 성지로 만들고자 하고 있다. 

 

 

 

 

 

 

 
       동의보감촌에는 우주 삼라만상을 구성하는 다섯가지 요소(나무, 불, 흙, 광물, 물)를 주제로 한 산청한방테마공원이
  있다.

       테마공원은 친환경적으로 기존 수림대와 계곡을 조성하였으며 산책로도 마련되어 있어서 관광과 휴식을 겸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국 최초 한의학전문 박물관 구경을 마치고 산청 한방테마공원으로 발길을 돌리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곰과 호랑이 상징 조형물과 샘골이다.

                   조명 등과 울타리 장식이 잘 어우러져 보는 이의 눈을 즐겁게 한다.

                   상징거리 오른쪽에는 초정이라는 연못이 있고 연못 가운데는 물긷는 소녀상이 있다.

                   샘골 바로 옆으로는 명의동네라 이름 붙여진 산책로가 있는데 지압보도가 설치되어 있어 신발을 벗고 지압을

                   해도 좋을 듯하다.

 

 

 

 

 

 

 

              

                   한방골의 대표적 조형물인 곰 조형물은 전망대 역할을 한다.

                   그 외 십장생 공원, 12 지신 분수광장,

                   인체의 내부를 표현한 조형물 등을 감상 할 수 있다.

                   놀이동네도 있어 아이들이 아주 좋아할 만한 곳이다. 가족여행하거나 여름 휴가를 보내기에 좋은 곳이다.

 

 

 

 

 

 

                                        동의전은 한방테마공원 동선중 맨 윗쪽에 위치하며 기체험장이다.

 

 

                                        떨어져 보면 어느 절의 거대한 대웅전 같은 느낌이 드는 곳이다.

                                        남한에서 경복궁 근정전 다음으로 큰 목조건물로 예술미와 웅장함을 모두 갖추고 있다.

                                        주변에 국새전각전, 동의약선관(음식점)과 약초판매장 등의 건물이 있고.

                                        기 바위로는 동의전 앞 마당가에 복석정이,뒷편에 귀감석과 석경이 있다.

 

 

                                        맨 윗쪽에 위치한 석경은 자기의 마음을 비추어 보는 곳이다.

                                        돌부리 중심부에 이마를 대고 기를 받는다.

                                        동의전 바로 뒷편의 귀감석은 무게만도 127t 이나 되는 거대한 거북모양의 바위이다.

                                        두팔을 벌려 온몸으로 바위를 껴안아 기체험을 한다.

                                        동의전 앞 마당가의 복성정은 복을 담은 솥이란 뜻이다.

                                        기체험 방법은 바위 주변을 돌면서 소원을 비는 것으로 한다.

 

 

 

 

 

 

 

 

              동의보감촌 상부에 한방자연휴양림이 있다.

 

 

              숙소로는 숲속 휴양관 1동 11실,  숲속의 집 4동이 있고,

              편의시설로는 세미나실, 취사장, 야영데크, 야외물놀이장 등이 있다.

              일반 펜션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깨끗한 시설로 인해 주말이면 많은 분들이 찾는다.

 

               한방자연휴양림 바로가기     http://huyang.sancheong.go.kr/

 

 

 

 

 

 

 

 

               4월 11일,

              동의전옆 약선관에서 저녁식사후 이곳 휴양림 휴양관에서 1박 한다.

              8인실, 6인실, 4인실이 있으며,

              세면도구(수건포함)는 각자 지참하여야 한다.

 

 

 

 

 

 

 

 

               시설은 깨끗하고 나무랄데 없는데,

               여러 회원이 단체로 숙박하다 보니 잠자리가 부족했으리라.

 

 

 

 

 

               ▣ 남명선생 사적지 (산천재와 남명기념관)

 

     

 

           산청을 방문한 여러 동지들에게 지역을 보여주긴 해야하는데.

                 걸출하게 뛰어난 곳이 없다.

                 산으로 말하면 지리산과 황매산 등등 며칠을 다닐수도 있다.

                 한나절 둘러볼 곳으로는 동의보감촌과 구형왕릉,  대원사와 유평계곡, 내원사와 장당계곡, 남명선생 사적지,

                 남사예담촌, 성철스님 생가와 겁외사, 목면시배지 .................              

                 그중,

                 남명선생 유적과 남사 예담촌, 성철스님 생가 정도만 관광버스에 문화유산 해설사를 동행하면 말(言)로 한나절은

                 보낼수 있을 것 같다

 

 

                  먼저 산천재로,

                  산천재는 산청군 시천면 사리에 위치한다.

 

 

 

 

 

 

                 남명 조식선생은 조선 중기의 유명한 유학자이다.

                 선생은 많은 벼슬이 내려졌으나 모두 거절하고,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 평생을 보냈다.

                 남명유적은 두 곳으로 나뉘는데, 이곳 산청군 시천면 사리에 산천재, 별묘, 신도비, 묘비가 있고,

                 이곳에서 약 1.7km 떨어진 원리에는 덕천서원과 세심정이 있다.

                  남명선생이 만년에 강학하던 산천재(山天齋)를 비롯하여,

                 사후(死後) 그를 모시던 덕천서원(德川書院) 등을 일괄 지정한 사적지이다.

 

 

 

 

 

 

 

            막 피어나는 녹음이 너무 좋다.

 

 

 

 

 

 

 

 

 

 

              산천재는 선생이 학문을 닦고, 후학을 가르치던 곳으로 명종 16년(1561)에 세웠고,

                 순조 18년(1818)에 고쳐졌다.

                 규모는 앞면 2칸, 옆면 2칸이다.

                 

 

 

 

 

 

 

 

 

              오늘 산청투어에는 노창운 문화유산 해설사님이 동행하셨다.

               남사 예담촌에 살고 계시고, 체험지도사를 겸하고 계신다.

               공부하는게 좋고, 알려 주는게 좋고,

               예담촌을 찾으시면  마을소개를 부탁하심도 좋을 것 같다.

 

 

               좌측에 보이는 나무가 남명매이다.

               산청에는 유명한 3매가 있다,

               이곳 남명매, 남사 예담촌의 원정매, 단속사지의 정당매가 그것이다.

               남명매는 수령 약 450년생으로 남명선생이 61세이던 명종16년(1561년)에 손수 심은 매화로,

               연한 분홍빛이 도는 반겹꽃이 가득 핀다.

 

 

                                          한해 저물어 홀로 서있기 어려운데

                                          새벽부터 날 샐 때까지 눈이 내렸구나

                                          선비 집 오래돌고 매우 외롭고 가난했는데

                                          네가 돌아와서 다시 조촐하게 되었구나

                   

                                                             설매(雪梅) 남명집

        

 

 

 

 

 

 

 

                남명 조식(曺植) (燕山君 7년 1501∼선조 5년, 본관 창녕)

                남다른 재질과 용공(用工)(절제(節制))으로 일찍부터 학덕을 갖추어 대성하였으나

                사환(仕宦)(벼슬)에는 나아가지 않고, 평생동안 선비와 처사(處士)(산림(山林))로써 굳건히 일관하였다.

                38세 때 헌릉참봉(獻陵參奉)을 시작으로 여러 번 벼슬이 제수되고 왕이 면대하기를 청(징소(徵召)하였으나

                매번 상소(上疏)(봉사(封事))로써 의견을 개진 하였을 뿐 나아가지 않았고, 

                오직 66세(명종(明宗)21, 1566)되던 해 10월 초에 상경하여 왕을 잠시 뵈옵고는 곧 귀향하였다.

 

 

 

 

 

 

 

               사후, 광해군 7년(1615)에 영의정에 추증되고 시호를 문정이라 하였다.

                경상도의 북(北) (안동)과 남(南)(진주)에서 동년생으로 다같이 불세출의 홍유(鴻儒) 석덕(碩德)에 이른 퇴계이황이

                연구와 사색과 저술을 통해 천도(天道)(이치(理致))를 밝힘에 보다 힘썼다면,

                남명은 반궁(反窮) (자성과 체험과 실천을 통해 의리(義理)의 숭상(시폐(時弊)의 구제(救濟))에 보다 힘썼다고 할수

                있다.

 

 

                남 남명(南冥)의 학문은 스스로 강조한 바와 같이 경의(敬義)로써 대표되는데 경(敬)은 안으로 궁리명선(窮理明善)

                하는 용공(用工)이며 의(義)는 경(敬)한 바를 밖에서 실행하는 용단(勇斷)으로도 이해 될 수 있을 것 같다.

                이같이 고고 강의(剛毅)한 기상을 깔고 있는 남명의 학풍은 최영경, 정인홍, 정구, 김우옹 등 발군의 여러 제자들을

                통해 후일에 이르도록 퇴계(退溪)나 율곡학파(栗谷學派)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학맥으로 전승되었다.

 

 

 

 

 

 

 

 

 

               특히 임진왜란에 있어서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곽재우(郭再祐) 김면(金沔) 정인홍(鄭仁弘)등 경상우도의병의 주축이  이 문하에서 군기하여 국난극복에 크나큰

               공덕을 세웠다.

               그러나 한편으로 고제(高弟) 정인홍(鄭仁弘)이 그 후 대북파의 영수로서 광해군 정권과 연계되고 처형된 까닭에

               조선후기는 물론, 금일에 있어서도 남명에 대한 이해와 평가 및 천양(闡揚)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있는 실정

               이다.

 

 

 

 

 

 

 

               남명(南冥)은 현 합천군 삼가면 토동(외토리)에서 생장(生長)하고,

               30세 되던 중종 25년(1530)에 처향(妻鄕)이던 현 김해군 대저면 탄동(주박동)으로 옮기어 산해정(山海亭)을 지어 경의

               (敬義)공부에 몰두하였다.

               48세(명종) 3, 1548)에 다시 향리(토동)로 돌아와 학복당(鶴伏堂)과 뢰용정(雷龍亭)을 지어 찾아드는 많은 학자 (門人)

               을 가르쳤고,

 

 

 

 


 

 

 

           61세 되던 명종(明宗) 16년(年)(1561)에 이곳 사리(絲里)(사륜동(絲綸洞), 당시는 진주목(晋州牧) 덕천동(德川洞))로

           재차 옮겨 산천재(山川齋)를 지어 제생(諸生)에게 강학하던 중 11년 후에 逝去하였다.

           그러므로 현재 김해의 산해정(山海亭), 삼가의 뢰용정(雷龍亭)(경북문화재자료(慶北文化財資料) 제129호 등도 남아

           있으나 만년에 거처하던 이곳 일대가 남명의 유적지 중 가장 대표적인 곳이다.

 


 

 

 

 

 

 

            이곳 사적의 각 건물이나 석물이 갖는 문화재적 평가보다도,

            그 전체를 일괄하여 남명선생의 학덕과 교육(강학)을

            오늘날에 되살려 숭앙 천양하는 상징적 중심체(기념물)로써 사적 제305호로 지정하였다.

 

 

 

 

 

 

 

 

 

 

 

 

 

 

 

 

 

            산천재에서 기념관으로,

 

 

 

 

 

 

 

 

 

 

            남명 선생의 후손으로.

            이곳 향리에서 해설사로 계시는 조종명 선생이다.

 

 

 

 
 

 

 

                  남명기념관은 남명선생 탄신 500주년을 기념하여 선생의 학덕을 추모하고 선생이 추구하고자 하였던 경의사상

                  (敬義思想)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사업을 추진하여 2004년 8월에 개관하였다.

                  기념관 내부에는 남명선생과 관련된 유물 전시실과 영상정보실, 교육관, 세미나실 등이 있으며,  외부 공간에는

                  신도비, 남명석상, 여재실 등이 있다.

 

 

 

 

 

 

 

           △ 학파 계보도와.

 

 

 

 

 

 

 

 

 

 

               제1전시실
               남명 선생이 실천하는 학문으로의 전환점이 된 서적들과 경의검(敬義劍), 성성자(惺惺子)등

               남명의 수행과 실천에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 성성자.

 

               남명선생은 평소에 경의검과 성성자를 몸에 지니고 있었다 한다,

               경의검 오른편에는 ‘내명자경(內明者敬)’이라 새겼고, 왼편에 ‘외단자의(外斷者義)’라는 글을 새겼다.

               안으로 나를 깨우치는 것은 경이고, 바깥으로는 결단 있게 행동하는 것이 의라는 뜻이다.  

 

 

               성성자 방울은 항상 허리에 차고 다니면서 정신을 깨우치는데 사용하였다.

               몸을 움직일 때마다 소리가 나서 잡념을 없애고, 성인의 길에 도달하는 공경(恭敬)의 공부에 전념하리라는 생각에서였다.
               성(惺)은 도리를 깨닫는 것이니 자신을 경책(警責)하는 역할을 말한다.

               아마 두 개를 단 것은 하나의 방울이 소리가 나지 않을 경우, 다른 방울에서 울리도록 하기 위함이리라.

               또 다른 뜻은 하나의 방울이 울리면 다른 방울이 공명(共鳴)을 하리라는 생각에서 그렇게 하였을 수도 있다.

 

 

 

 

 

 

             제2전시실
             남명의 가르침을 따랐던 제자들을 주제로 한 전시실로 제자들의 유물과 미니어처 연출, 의병활동과 관련한 조형물을

             설치하여 그의 업적을 돌아볼 수 있는 공간이다. 
            
             제3전시실
             명정신을 기리고 이어받기 위한 오늘날의 노력과 이에 대한 실천의지를 표현한 공간으로 사숙 및 문인의 유물과

             사적의 전경모형을 볼 수 있다.

 

 

 

 

 

              ▣ 남사 예담촌

 

 

 

 

           △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 

               남사마을과 상사마을이 강을 경계로 한다.

 

 

 

 

 

 

 

 

 

           △ 남사마을엔  하씨, 이씨, 박씨 등 다양한 성씨를 가진 분들이 산다.

 

 

               어느 한사람이 이름이 날려면 후손을 잘 만나야 한다.

               기산 박헌봉 선생이 그중 한분이다.  

               기산 선생은 예술학교? 초대 총장을 지낸분으로 후손의 노력으로 기산국악당(기산 기념관)이 생가가 있는 상사마을에

               세워졌다.

               동쪽편 강 건너엔 면우 곽종석 유적과 이동서당이 있고, 비교적 근년에 유림독림기념관이 세워졌다.

               강건너 상사마을에서 유림독립기념관으로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남사마을을 찬찬히 둘러볼려면 이곳에서 한나절을 보낼수도 있다.

 

 

 

 

 

 

 

  

                                   △ 이씨고가 입구이다,

                                       예담촌 중앙 주차장에서 마을쪽으로 바라 보았을때  좌측편에 있다.

                                       두 회화나무는 진사님들의 표적이 된다.

 

 

 

 

 

 

 

 

 

                 △  약간의 거리를 두고 교차되어 있는 두나무에

                      사람들은 여러 이야기를 붙인다.

 

 

 

 

 

 

 

 

 

           △ 자세히 보면 햇빛을 서로 배려하고 있는데서 사랑이야기가 솟는다.

 

 

 

 

 

 

 

 

 

 

           △ 거창에서 오셨다.

               유명한 거창신씨 후손이다.

 

 

 

 

 

 

 

 

 

           △ 풍류에 있어,

               보기 드문 재능을 발휘한다.

 

 

 

 

 

 

 

 

 

 

 

 

 

 

 

 

 

 

 

 

           △ 도태와 태만 사이에 갈등이 심한가 보다,

 

 

 

 

 

 

 

 

 

 

           △ 다정함과 배려를 모두 갖추고 있다.

 

 

 

 

 

 

 

 

 

 

                                △ 금년 가을,

                                    수원 화성에서 큰 기획을 구상중이다.

 

 

 

 

 

 

 

 

 

           △ 서해바다.

               요즘 블로그 활동은 뜸한 편인것 같다.

 

 

 

 

 

 

 

 

 

 

                                 △ 가짜.

 

 

 

 

 

 

 

 

 

 

           △ 이씨 고가 앞에서 회화나무를 올려다 본다.

 

       

               X자형 회화나무가 골목 입구에 있는 이 씨 고가는 남사예담촌의 상징이며, 남사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집으로 1700년대

               목조건물이다.

               남북으로 긴 대지에 안채와 사랑채, 외양간채(익랑채)와 곳간채가 안채를 중심으로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 이리오너라 !

               부름과 함께 대문을 들어서면 먼저 배꼽이 있는 노거수를 보실수 있다.

               해설사는 나무 배꼽에 해학을 심는다.

 

 

               집터의 서남방에 자리 잡은 대문간을 들어서면 바로 사랑마당이고,

               이 마당 북쪽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 반의 사랑채가 동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사랑채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사랑채 남쪽으로 자리 잡은 외양간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로 외양간과 광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 동쪽에는 정면 3칸, 측면 1칸 크기의 중문간채가 자리 잡고 있는데, 중문과 광이 있고

               출입문은 안마당 쪽으로 터놓았다.

 

 

 

 

 

 

 

 

 

           △ 중문을 들어서서 보이는 안채는 정면 7칸, 측면 2칸 반 크기로 동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건넌방 1칸, 대청 2칸, 안방 2칸을 두고 방과 대청 앞면에 1칸 폭의 툇마루를 두었는데 뒷면에는 작은 벽장을 달았다.

               대청 뒷벽으로 개방된 툇마루를 단 것이 특색이 있다.

               아래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 반 크기로 동향하였는데, 남측단에 부엌과 방,대청을 배치하고 정면에는 개방된 툇마루를

               만들었다.

               서향한 광채는 정면 3칸, 측면 2칸 크기로 안쪽은 칸을 나누지 않았다.

 

 

 

 

 

 

 

              시각적으로 막혀있는 특이한 배치를 보이고 있고,

                 일반 사대부 주택 안채에 있는 부엌이 사당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것과 달리

                 이 집은 같은 방향으로 놓여 있는 것이 특이하다.

 

 

                 유머로,

                 행랑의 문없는 화장실에 대한 애기도 쬐끔..........

 

 

 

 

 

 

 

 

           △ 이씨고가를 둘러보고,

               특산물 매장앞을 지난다.

 

 

 

 

 

 

 

 

 

 

           △ 손두부에 동동주도 있다.

 

 

 

 

 

 

 

 

 

 

           △ 사효재를 둘러본다.

 

 

 

 

 

 

 

 

 

 

           △ 산적에 해를 당한 부자의 孝이야기가 있다.

 

 

 

 

 

 

 

 

 

 

                                 △ 이곳 사효제에서 제를 지낼때 반드시 이 향나무로 향을 피웠는데,

                                     어느때 부턴가 시중에서 구입한 향을 쓴다.

                                     왜 이 나무의 향을 쓰지않느냐 물음에

                                     네가 올라가라 !

                                     제관의 나이는 들고, 나무는 크고 높아 올라갈 수가 없다.

 

 

 

 

 

 

 

 

           △ 예담은 엣담장의 뜻이라..........

 

 

 

 

 

 

 

 

 

 

           △ 양반의 DNA가 흘러

               서민들이 살던 곳은 빼고 둘러본다.

 

 

 

 

 

 

 

 

 

                                △ 하회마을과는 좀 다르지 않수?

 

 

 

 

 

 

 

 

 

 

 

 

 

 

 

 

 

 

 

           △ 최씨고가는 가운데 주차장 앞쪽에 있다.

               먼저,

               살고 보아야.

 

 

 

 

 

 

 

 

           △ 최부자집 입구,

 

 

 

 

 

 

 

 

 

 

           △ 최씨 고가이다.

 

 

               남사마을 중앙에 자리잡은 가장 큰 집으로 안채와 외양간채, 사랑채가 안채를 중심으로 ㅁ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으며

               1930년대 지은 집이다.

 

 

 

 

 

 

 

 

           △ 안채는 앞면 6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뒤쪽 툇마루의 폭이 커서 각 방 뒤편으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벽장을 두었다. 부엌과 건넌방 뒤에는 따로 방을 만들었다.
               동향한 아래채는 앞면 4칸·옆면 2칸으로 지붕은 앞에서 볼 때 사다리꼴을 한 우진각지붕으로 꾸몄다.

               남쪽에 개방된 대청이 있고 이어 온돌방을 두었다.

 

 

 

 

 

 

 

           △ 광채는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이며 서쪽을 향하여 서 있다.

 


               사랑채는 앞면 5칸·옆면 2칸 반 규모인데 앞뒤로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사랑채 좌우에 안마당으로 통하는 중문을 2곳에 만들었는데 동쪽 중문을 통과하면 안채가 한 눈에 보이고,

               서쪽 중문은 외양간채와 안채가 직접 눈에 띄지 않도록 안으로 담을 둘러 놓았다.
               남녀 사용공간을 나누어 공간의 독립성을 부여한 뛰어난 배치로 사대부가의 유교적 전통을 엿볼 수 있는 집이다.

 

 

 

 

 

 

 

 

                               △ 창이냐 문이냐?

                                   문지방이 두개라 창으로 본다.

 

 

 

 

 

 

 

 

 

 

           △ 다양한 문살을 볼 수 있다.

               왼쪽은 창,

               오른쪽은 문.

 

 

 

 

 

 

 

 

           △ 사양정사로 가는 길은

               가운데 주차장에서 마을을 바라보았을때 우측 골목이다.

               물론 이정표가 있다.

 

 

 

 

 

 

 

 

           △ 옛, 근대, 현대의 지붕이 공존하고 있다.

 

 

 

 

 

 

 

 

 

 

           △ 사양정사,

 

 

 

 

 

 

 

 

 

 

           △ 사양정사의 안채인 셈이다.

 

 

 

 

 

 

 

 

 

 

           △ 수수한 정원과.

               마당 한켠엔 오래된 단풍나무 한그루가 있다.

 

 

               이 단풍나무의 잎은 처음에는 청색을 보이다가 붉은 색으로 변하며 (아님 거꾸로 처음은 홍 뒤는 청  ?)

               나중 단풍이 드는 특이함이 있어 많은 분들이 종자를 채취해 간다.

               잎은 경상도 지역의 넓은잎 단풍보다는 내장단풍에 가까운 것으로 기억된다.

 

 

 

 

 

 

 

                                △ 산청3매 외에.

                                    예담촌엔 오매(불망)가 있다.

                                    이곳 사양정사 안채 외에, 최씨고가에도, 이씨고가에도 있다.

 

 

 

 

 

 

 

 

                                 △ 사양정사 앞 골목 건너편엔

                                     수령 약 600년의 감나무가 있다.

                                     이 감이 왕에게 진상된 산청 덕산곶감의 효시가 된다.

 

 

                                     또한 이곳 하씨 고가의 마당가에 산청3매의 하나인 원정매가 있다.

                                     원정매는 수령 약670년생으로 고려 원정공 하집이 심은것으로 등걸은 古梅로서의 품격을 갖추고

                                     있고, 3월말이면 연분홍 꽃을 피운다

                                     이 집은 진양하씨가 32대째 살고있는 집이다.

                                     원정구려 현판이 걸려있다

                                     원정매는 긴 여정을 내려놓고 밑둥치에서 싹을 틔운 자손에게 대를 잇게해 오래된 맛은 없다.

 

 

원정매

 

집 양지바른 곳에 일찍심은 한그루 매화

찬겨울 꽃망울 나를위해 열었네

밝은 창에 글읽으며 향피우고 앉았으니

한점 티끌도 오는 것이 없어라

 

영매詠梅 (원정공매화時)

 

  

 

 

                  ▣ 겁외사와 성철스님 생가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 대전-통영간고속도로 바로 옆에 성철스님생가와 겁외사가 있다.

                 성철스님은 현대 불교를 대표하는 선승으로 해인사의 초대 방장을 지내셨고 조계종 제6대 종정이시기도 했다.

                 말년에 주로 합천 가야산의 백련암에서 지내셨으며, 1993년 11월, 82세를 일기로 열반에 드셨다.

                 성철스님의 열반 후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라는 성철스님의 말이 사람들 사이에 많이 오르내리기도 했다.

 

 

 

 

 

 

 

 

                이 곳 묵곡리는 1912년 음력 2월 19일 성철대종사가 태어난 곳으로

                해인사 성철스님 문도회와 산청군은 1998년 성철대종사 열반 5주기를 맞이하여 단순한 생가복원 차원을 넘어서

                성철스님기념관을 세워 수행의 정신과 그 가르침을 기리고 겁외사를 건립하여 종교를 뛰어넘는 선 수행, 가르침,

                포교의 공간을 조성하여 2001년 3월 30일 문을 열었다.


 

                 일반적인 사찰은 일주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대웅전이 있는데,

                 겁외사엔 정면에 성철스님 동상과 뒷편으로 생가가 있다.

                 대웅전은 좌측 한켠으로 살짤 비켜서 있는셈이다.

                 또한 대웅전 외벽에는 성철스님 일대기를 벽화로 그렸다.

 

 

 

 

 

 

 


             성철대종사는 비록 우리와 똑같은 속인의 모습으로 이 땅에 태어났지만 영원한 진리와 행복을 찾고자 하는 일념으로

             부처의 길을 택하여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철저한 수행과 무소유의 삶으로 사신 수행자임은 물론 모든 이들에게

             “우리 시대의 부처”로서 추앙받고 있는 이 시대의 성인이다.

 

 

             대웅전 뒷 외벽의 벽화이다.

             오른쪽에 보이는 벽화의 우측상단에 색즉시공 공즉시색과 e=mc2  (c2는 c의 제곱) 의 글귀가 있다. 

             평소 스님이 상대성이론으로 설법을 했는지, 그림을 그린분이 표시한건지 모르지만

             해설사는 상대성이론을 접목시킨다. 

             좌측 벽화는 금강산유람도?이다.

             아들을 찾아 금강산에 간 어머니의 일화가 숨어있다.

 

 

 


 

 

 

                    성철대종사의 부친인 율은 이상언옹의 호를 따 율은고택으로 명명한 생가는 크게 유물전시관과 사랑채전시관으로

                    구분된다.

 

 

 

 

 

 

 

 


                 유물전시관에는 성철 스님이 평소 지녔던 두루마기와 고무신을 비롯하여 평소의 생활모습을 엿볼 수 있는 소장 도

                 서와 메모지, 유필 자료 등이 전시되어 있다.

 

 

 

 

 

 

 

 

 

                   안채전시관과 사랑채전시관은 성철 스님의 생가를 그대로 복원한 것이 아니고,

                   당시의 일반적인 한옥의 형태로 이루어진 기념관이다.

 

 

 

 

 

 

 

 

                 겁외사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절”이라는 의미로서 늘 영원한 진리를 추구하고자 했던 성철대종사의 수행자적 의지가

                 담긴 이름이라 하겠다.
                 겁외사는 대웅전과 선방, 누각, 요사채 등이 부속 건물로 있으며 대웅전에는 석가모니 부처님과 김소석 화백이 그린

                 성철대종사의 진영이 봉안되어 있다.

 

 

 


 

 

 

                   성철대종사 생가복원과 겁외사 창건의 의미는 성철스님 개인을 추앙하자는 것이 아니라 누구라도 깨달음을 향한

                   의지와 실천이 굳으면, 속인으로 오셨다가 부처님으로 가신 성철스님처럼 영원한 진리를 함께 할 수 있다는 표본을

                   보여준다는 데 있다.
                   겁외사는 추모의 공간이 아니라 발심의 공간인 것이다.

 

 

 

 

 

 

 

 

 

 

 

 

 

 

 

 

 

 

 

 

 

 

 

 

 

 

 

 

 

 

 

 

 

 

 

 

 

 

 

 

 

 

 

 

 

 

 

 

 

 

 

 

 

 

 

 

 

 

                 오랫동안 좋았다고 기억되기를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