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거창 둘러보기 / 상림리석조보살입상, 심우사, 개봉고분, 양평리석조여래입상. 심소정, 둔마리고분벽화, 운경암선생생가, 무릉리정씨고가 외.

정헌의 티스토리 2019. 10. 15. 22:24


           ■ 거창지역 둘러보기 2 / 상림리석조보살입상, 심우사목조아미타여래좌상, 개봉고분, 의동마을은행나무길,

              양평리석조여래입상, 심소정, 둔마리고분벽화, 윤경암선생 생가, 무릉리 영빈서원과 정씨고가, 최진사댁,

              삼우당, 아름다운절, 일원정, 김숙자 사당.

 

                 거창 탐방 2일째다,

                 탐방지는 거창읍, 남하면, 남상면 일원으로 거창읍 주변으로 보면 되겠다,

                 거창 관광안내 지도 한장 구해 이곳 저곳 다녀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것 같다,



           ▷ 가는 길








           ▷ 탐방코스 (2019. 10. 4.) 

               상림리 석조보살입상 - 심우사 - 중식 - 개봉고분 - 의동마을 은행나무길 -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 심소정 - 둔마리

               고분벽화 - 윤경암선생 생가 - 무릉리 영빈서원, 정씨고가 - 최진사댁 - 삼우당 - 아름다운절 - 일원정 - 김숙자 사당,



           ▷ 탐방후에


                ▣ 상림리 관응보살입상 / 보물 제 378호




               상림리 석조보살입상을 찾아간다,

               위치는 건계정 입구쯤으로 보면 되겠다.








             거창읍내에서 건계정쪽으로,

             저만큼 보살입상이 보인다,

             주소는 거창군 거창읍 미륵길 19-61 (상림리)








                조그만 마을안에 위치하여 들어가는 길을 감으로도 알 수 있다,








                  오랫만에 보는 간판이다,








                     화강암으로 만둔 3.05m높이의 관음보살입상은 배 앞으로 든 왼손에 연봉우리, 다리 옆으로 내린 오른팔의 손가락으로

                     정병(淨甁)을 가볍게 쥐고 팔각의 연화좌 위에 서 있다,

                     인체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는 석주형(石柱形)신체는 어깨가 높고, 팔이 가늘고 길며, 가슴은 양감이 없어 밋밋하다,

                     정수리에는 큼직한 보계가 높고, 머리에는 별도의 보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긴 얼굴에 침울한 인상, 두꺼운 목에 두 줄의 삼도선등 표현이 투박하고 세련미가 결여된 지방화의 모습이 역력하다,

                나형(裸形)의 상체에는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허리로 가로지르는 옷자락과 양 어깨에 숄처럼 천의를 걸쳤으며, 허리에는 치마를

                입고 굵은 띠로 묶었다,  띠옷주름 등의 특징은 통일신라 시대의 보살상을 계승한 고려불상의 조형감을 보여준다,  이 상은 원래

                인근 건흥사 (建興寺)에서 봉인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경상도 지역에 남아 있는 고려불상으로는 규모도 크고.  우리나라

                불교조각의 흐름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가치가 높다,



                                                                               < 안내문에서>












              석조여래보살입상 우측 뒷편으로 사찰이 있으나 입상과는 무관하며 입구도 다르다,

              또한 출입 대문 또한 잠겨있다,




              ▣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주소는 거창읍 하동 4길 77.

               보물 제1690호로 지정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보기위해 심우사에 왔다, 








               당대 조각승으로 유명한 청허(淸虛)스님이 1640년에 제작한 작품으로 원래는 거창 덕유산(현 감악산) 연수사에 모셔져 있던

               불상 중 하나였는데 1970년대 심우사(포교당) 건립시에 옮겨 봉안되었다,








                이 불상은 상호(相好)가 단정하며, 법의의 옷주름과 무릎사이로 늘어진 옷자락을 볼륨감 있게 표한한 점이 특징이다,


                상호는 양감있는 방형의 단정한 얼굴에 수평으로 그은 눈썹에서 이어지는 삼각형의 납작한 코,  선정에 들어간 듯 반개한 눈,

                꼭 다물고 고리를 살짝 올린 입을 표현하엿는데, 전체적으로 볼 때는 근엄한 모습이다,

                심우사 아미타여래상은 제작연대와 제작목적 등이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어 불교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주변에 탱화가 몇점 있다,

             그중 삼장보살탱은 문화재지로 제 318호로 지정되어 있다,








               심우사는 거창읍내에 위치한 조그만 사찰로 포교당 역할을 하고 있는 듯,




               ▣ 개봉고분,




                 거창읍 대동리 181.

                 경남도 기념물 제 51호로 지정되어 있는 개봉고분을 찾아본다,








                계단을 따라 오른다,

                고분으로 오르는 길은 이곳 뿐인것 같다,








                야트막한 동산에 위치하여 거창읍내가 시원스레 조망된다,








                  개봉고분은 거창읍 중심에 위치한 가야시대 지배자 무덤으로 북쪽 분산성과 마주 하고 있다,

                  모두 5기의 고총고분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는 3기만 확인되며 이중 1.2호분은 1982년 복원 및 정화사업으로 거대한

                  무덤의 형태를 갖추었다. 이중 1호분은 규모가 지름 30m, 높이가 10m에 이르는 대형분이다, 이들 고분의 주변에 각종

                  토기 조각이 흩어져 있는 점으로 보아 이곳에는 상당수의 옛 무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고분군에 대한 학술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수습된 토기 조각과 대형 무덤의 형태로

               보아 가야 후기(6세기경)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까지 거창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옛 무덤에 대해서는 크게 알려진 바가 없기 때문에 이 지역 세력의 사회문화상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아랫쪽 작은 묘지,





                ▣ 의동마을 은행나무 길




                거창읍 학리 의동마을 입구에 있는 은행나무길이다,















                금귀봉 등산로 이정표도 보인다,








                길이는 불과 100여m에 불과하지만 가을철  노오란 은행잎이 황금길을 만들어 내며 가을의 풍미를 느낄 수 있겠다,

                "2011년 제1회 거창관광 전국사진 공모전"을 통해 알려지기 시작하여 사진 애호가들이 알음알음 찾고있다,








































            규모가 작아 쬐끔 실망스러울 수도 있다,





            ▣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양평리 석조여래입상을 찾아간다,

              주차장이다,








               들머리,








              깨끗한 잔디가 인상적이다,
























                  화강암으로 만든 석가여래입상으로 전체 높이는 3.7m, 불상 높이는 2.75m이다,

                  몸은 머리에 비해 약간 가늘어 보이지만, 늘씬한 체격으로 세련된 조각과 전체적인 조화는 9세기 통일산라시대

                  불상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둥근 얼굴에 뚜렷한 이목구비, 반쯤 뜬 두눈과 입가의 미소는 부처의 자비를 느끼게 한다,

                        짤고 굵은 목에는 윤회의 인과를 뜻하는 삼도(三道)를 선으로 새겼고, 머리에 비해 약간 좁은 어깨 양쪽에는

                        대의(大衣)가 걸쳐졌다, 대의 아래에 입은 긴 치마 모양의 군의(裙衣. 치마군)는 접힌 것까지 표현되었다,








                      오른손은 밑으로 내려 군의자락을 쥐고, 왼손은 집게손가락을 곧게 폈다, 여래를 받치는 둥근 대좌에는 연꽃잎이

                      두텁게 조각되었다, 머리위의 천개는 근년에 올려진 것이다,


                      불상 주위에 주춧돌과 기와조각들이 확인되고 있어, 노혜사(老惠寺) 또는  금양사(金陽寺)가 있었다는 전승을 뒷

                      받침 하고 있다,


                                                     < 이상 안내문에서 >






               주변,








                 사찰로서 뭔가 짜임새는 조금 부족한 듯,

                 파란 잔디가 잘 자라고 있다.




                 ▣ 심소정(心蘇亭. 깨어날 소 ) / 경남도 문화재자료 제 58호




                거창군 남하면 양항길 253-158,

                심소정에 왔다,

                거창 체육공원에서 남하면으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아래쪽 주차장? 주변,

                  주차장이라 할 수 없으나 약간의 공간이 있다,

                  지금은 사용할 수 없는 샘이 있고,

















              글자를 알알 볼 수 없는 오래된 비석도 있다,









                 심소정으로 오르면서 처음 만나는 건물이다,

                 현  소심루는 보수공사 중이다,








                 개인 주택인가?

                 심소정의 후손인가?

                 현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듯.








                              심소정전현추모비 心穌亭前賢追慕碑

                              한자의 '소'자가 안내표지판의 '소'자와 다르나 '깨어날 소'로 뜻은 같은가 싶다,








                무슨 건물일까?









              뒷편 심소정으로 오르면서 바라본 공사중의 소심루,








                  심소정은 조선 성종때 단성현감을 지낸 화곡 윤자선(尹孜善) 선생이 1489년 (성종20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선생은 이 정자와 함께 심연재를 지어 산수를 즐겼으며 후진을 가르쳤다,









               대청과 방을 갖춘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형태의 5梁량 구조이다,

               1771년(영조47)에 중수하였고, 1817년(순조17)에 다시 손질하였다,
















                     서편 뜰에는 1820년(순조20)애 세운 단성현감윤공유허비(丹城縣監尹公遺墟碑)가 있다,

                     또한 이곳은 1919년 파리장서운동을 논의한 곳이며, 신간회 회장을 지낸 윤병수 선생이 지금 거창초등학교의

                     전신인 창남의숙(昌南義塾, 글방 숙)을 세워 교육하던 곳이기도 하다,

                     심소정이란 '마음을 되살리는 정자'라는 의미이다,







               거대한 소나무가 운치있다,




















                  ▣ 둔마리 벽화고분




                  거창군 남하면 둔마리 산 289-2.

                  사적 제239호로 지정된 둔마리 벽화고분을 보러 왔다,








              조그만 주차장과 더불어 아담한 화장실도 신축되어 있다,

               남여 각 1칸쯤,








                고분은 이곳 주차장에서 몇백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주차장 윗쪽, 시멘트 포장된 도로가 끝나는 지점 왼쪽 윗쪽으로 난 길을 따르면 된다,




            




             들머리에 화살표 방향의 표시가 있는 이정표가 1개쯤 있었으면 좋을 것 같으나 없다,








              고분으로 가는 길은 잘 단장되어 있다,








              과하게 경사진 길이 아니므로 크게 힘들지는 않다,








              금귀봉 동남쪽 지능선상에 위치한 고려시대 거창지역 지방 호족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벽화고분이다,

              고분 형태는 내모진 형태의 장방형 쌍곽묘이다, 내부에는 245cm *90cm *90cm(높이)의 석관형 무덤방 두개가 중간벽을

              함께하고 동서방향으로 놓여있다,







              벽화는 각 벽면에 회칠을 한 후 天女奏樂像(악기를 연주하는 모습), 남녀가 어울려 무용하는 그림 등이 프레스코(Fresco)

              기법으로 활달하게 그려져 있다,  그 내용은 죽은 사람의 혼을 하늘나라로 인도하는 모습이다, 묻힌 자의 이름, 신분 등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그 당시 복식 및 생활모습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일대는 석장(石葬)골 또는재궁(梓宮)골이라 불리던 곳으로 벽화고분은 1971년 처음 발견되었고, 다음 해 발굴 조사 후

              보존 관계 때문에 폐쇄하였다, 현재 실물 크기의 모형이 거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꼭 하나의 무덤만이 들어설 수 잇는 좁은 산등성이 양쪽으로 급한 경사를 이룬 깊은 계곡으로 풍수지리적으로

                좋은 자리라 한다,

                근처에는 원래의 모습대로 복원된 고려, 조선시대의 민묘民墓가 흩어져 있다,







               벽화고분은 이중의 벽으로 된 돌방무덤으로, 땅을 파서 판석으로 벽을 두르고, 그 안에 돌방(석실)을 설치한 굴식돌방무덤

              (횡혈식석실분)이다, 서쪽 돌방에는 1개의 나무관(목관)이 있었지만, 동쪽 돌방은 비어 있었다,

              양쪽 돌방의 모든 벽은 회칠하고 그 위헤 흑, 녹, 갈색으로 인물을 그렸다, 동쪽 돌방의 동쪽 벽에는 6명의 선녀가 그려져

              있고, 북쪽 벽에는 희미하게 글자가 보이고 있다, 서쪽 돌방의 서쪽 벽에는 여자 2명, 남자 1명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벽화는 악기를 연주하는 그림으로 붓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생기가 있다,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도교적 요소가 가미된 내용

              이다,

              

              





                  고려시대의 고분 형식과 종교사상, 그리고 생활상을 보여주는 얼마되지 않은 귀중한 유적이다,

                  비슷한 시대와 내용의 벽화고분으로는 북한 개성시의 공민왕릉과 수람암동 1호분이 있고,

                  2000년 경 경남 밀양시 청도면 고법리에서 발견된 박익공묘(朴翊公墓)기 있을 뿐이다,


                                                 <  이상 안내 표지판에서 >





               ▣ 윤경남 선생 생가, 경남도 유형문화재 제326호,




              양향리,

              윤경남 선생 생가마을로 들어가는 들머리 소나무 숲이 좋다,


              


     



                소나무 숲 주변에 공원을 꾸미고 있는 중이다,








               거창군 남하면 양항리에에 위치한 윤경남 선생 생가를 찾아왔다.

               그러나 대문은 닫혀있어 들어 갈 수 없다.

               주변 두어 건물은 잡초와 수풀속에 방치되어 있다,





 












               담 너머로 바라본 윤경남 생가,



              임진왜란때 의병을 모집하여 적극적으로 의병활동에 참여한 영호 운경남(1556~1614)이 태어난 곳이다,

              현재는 안채와 사랑채 2동의 건물만이 남아 있지만, 남아 있는 건물의 흔적으로 볼 때 한때는 위풍당당한 사대부의 건물

              이었음을 짐작케 해 준다, 건물의 기단은 모두 자연석을 쌓아서 만들었고, 이 기단 위의 자연석 주춧돌에 나무를 깍아

              둥을 세웠다,  안채는 정면 5칸의 건물로, 부엌 위에 다락방을 갖고 잇는 것이 특징이며, 사랑채는 누마루의 양식을 갖추

              어 사대부 집안의 위풍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








                선생은 일찍부터 학문에만 뜻을 두고 과거를 통한 입신출세를 포기하였다,

                특히 선생은 경사(經史)에 열중하였으며, 문위 文緯. 정온 鄭蘊 등의 학자와 친분이 두터웠다,

                임진왜란 때 벌인 의병활동의 공을 인정받아 임진왜란 뒤에 벼슬길에 올라 장수 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죽은 뒤에는 대사헌의 벼슬이 더해 졌다,


                                                           < 안내문에서 >






                  생가 우측 뒷편,

                  고택의 운치가 있는 건물이 수풀속에 방치되어 있고,








                 위 건물 앞쪽 아래에 교우선생 문집 책판 안내문과 건물 역시 폐허로 방치되고 있다,



                 <교우문집>은  교우 윤주하 (1846~1906)의 글을 모은 것으로, 이곳에는 선생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책판 427매가

                 보관되어 있다.  이 문집은 언제 간행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선생의 아우인 평하 등이 편집하여 간행하였다고 한다,

                 선생은 평생동안 세속적인 출세에 뜻을 두지않고 학문 연구에 몰두하였으며, 기울어져 가는 조선을 현실을 안타까워 하였다,

                 문집에는 선생의 이러한 감정을 글로 표현한 시와 문장, 서신 등이 다양하게 실려 있다,

                 특히 1905년 을사조약 체결에 극력 반대하며 을사오적을 통렬히 비판한 을사의소는 존망의 위기에 처한 국가의 현실에 대한

                 사대부의 근심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 밖에도 문집에는 선생의 학문 경향과 조선 후기 사대부들의 학문적 관심사를  이해할

                 수 있는 많은 글들이 실려 있다,  선생은 허유에게서 학문을 배웠는데 당 대의 석학들과 교유를 하면서 성리학에 대한 의견을

                 편지로 통해 서로 개진하였다,


                                                              <안내문에서>







                마을앞의 비각,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이곳 마을이 제법 유서있는 곳인가 보다,






                ▣ 거창 무룡리 영빈서원과 낙영재, 정씨고가.




                영빈서원 찾는 길이 쬐끔 복잡하다,



                좁은 골목을 찾아가는 것도 그렇고 내비도 속시원히 안내하지 못해 주변을 몇 번 맵돌았다,

                보이는 건물은 무릉마을 회관이다,

                차라리 내비에 무릉마을 회관으로 검색하는 것이 편할듯 싶다,










               거창군 남하면 무룡리 1123.

               무릉마을 회관 옆에 영빈서원이 있다,

               정문에 무릉 경로당 현판을 달고 있음이 무척 의아스럽기도 하고 정겹기도 하다,








              영빈서원은 영조 20년(1744)에 창건하여 정절고 정구(靖節公 鄭矩) 등 6위(位)를 제향하던 곳으로 이 지역 학문의

              중심역할을 담당한 영천사(瀯川嗣), 물졸졸흐를 영, 이을 사)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본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 반의 팔작지붕이고 대문채인 광제문은 솟을대문이다. 사당으로 정면 3칸,측면 1칸의 맞

              배지붕인 구인사(求人祠)가 있다,








               1864년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일제 강점기에 국난극복을 도모하고자 사림과 후손들이 1919년 중건하여

               민족정신을 집결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고, 민족자존과 지역교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 유서깊은 장소이다,



                                                         <이상 안내표지판에서 >







                  서원 뒷편의 구인사.















             서원마당 주변,


























               거창 낙영재(樂英齋),

               문화재자료 제625호.








                  영빈서원 바로 옆이자 무룡마을 회관 뒷편에 있다,



            





               낙영재는 조선 인조, 효종때 남인의 대표 인물인 퇴계 이황(1501~1570), 미수 허목(1595~1682), 용주 조경

               (1586~1669)선생의 학덕을 기리고 봄에 유가의 성인에게 올리는 석채례를 지내기 위해 지은 재실이다,

               또한 지역의 선비들이 모임을 하는 장소인 유계소이기도 하다,  1925년 일제 강점기때 거창읍에 있던 고을의

               수령 등이 정무를 건물인 동헌이 허물어지자 이곳어로 옮겨 낙영재를 세웠다, 정면 4칸, 측면 2칸이며 앞면의

               반 칸은 툇간으로 활용되었다,

               조선시대 동헌을 지은 방식과 재료를 엿볼수 있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학술적으로 가치가 큰 문화유산이다,









                   무룡리 정씨고가를 찾아간다.


 

                   영빈서원, 낙영재가 있는  같은 마을이나 정씨고가 찾는 일 또한 쉽지는 않았다,

                   카카오 내비 또한 속시원한 안내를 거부하고 있다,

                   그냥 지나칠려다 한번 더 찾아보니 영빈서원, 낙영재에서 약 200m거리에 있다,








               정씨고가로 가는 길,








               대문이 닫혀있고,

               전화번호가 걸려있으나 살짝 들어가 본다,

               대문은 정면 3칸의 맞배지붕 솟을 대문으로서, 평면으로 볼 때 방과 창고가 각각 1칸씩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릉리 정씨고가는 남하면 무릉길 19-16.

                  경남도 유형문화재 제 287호로 지정되어 있다,

                  본 건물은 사랑채이다,








                정씨고가는 산수정 정형초(山水亭 鄭滎初)가 1686년(속종12)애 세웠다고 하나, 현재의 건물은 1924년에 수리된 것이다,

                이 주택의 건물은 대문과 사랑채, 안채로 구성되었다,








              사랑채는 건물 주인의 호를 따라 산수정이라 칭했으며, 약간의 변형이 있긴 하지만 18세기 건축 수법을 잘 유지하고 있다,

              2층의 누각처름 지은 건물은 'ㄱ'자 모양의 꺽이는 부분에 한 칸의 방을 설치하고, 나머지는 마루로 구성하였다,

              건물은 높은 계단을 통해 올라가야 하는데,  언제나 아래에서 위를 올려다보도록 만들어서 사대부 가문의 권위적 위압감

              을 충분히 나타내고 있다,


            





               사랑채 마당에 우물이 있다,





    



                  중문을 들어서면,








                 안채가 있다,



                안주인을 위한 공간인 안채는 경남지역에서 보기 드문 'ㄷ'자형 건물이다,

                건물은 급경사를 이용하여 양날개 쪽을 이층으로 구성하였다, 마치 조선시대 여성의 지위를 보여주는 듯 건축의 수법도

                사랑채에 비해 소박할 뿐만 아니라, 굉장히 폐쇄적이다,  전체적으로 사랑채와 안채 모두 전통적인 전형적 틀을 과감히

                벗어버리고, 고급스러우면서도 자유스런 건축의 외형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수법은 변화되어 가던 조선 후기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안채의 부속건물로 창고?





              ▣ 최진사고가 / 월헌고가, 




              최진사 고택은 월헌고가라고도 하며 남하면 월곡마을에 있다,

              내비에 최신사댁, 또는 월헌고가로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




     



               월헌마을 입구에 일산봉 등산안내 이정표와 안내도가 있다,








                달이실 일산봉 등산안내도.

                이곳 월곡마을에서 원점회귀 산행이 가능하다,







                최진사댁은 초행이라면 찾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마을을 앞에서 바라보았을때 우측(끝은 아님)편에 있다,

                달이실 펜션 뒷쪽으로 생각하면 감이 잡힐수 있다.







                죄진사댁은 폐허나 마찬가지여서 큰 기대는 않하는게 좋겠다,

                현 안내표지판 하나 없으며,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인데 최진사댁인지 그 앞집인지 모르겠다,

                후손은 미국으로 건너갔다나?















               보수를 마친 건물도 있고,
























               전날 내린 많은 비로인해 주변의 황량함을 더한다,
















                어느 할머니 말씀으로는 최진사댁  앞쪽에 작은집이 있다하였는데,

                그렇다면 이 건물이 최진사댁 안채인가 싶고, 윗 윗 사진이 사랑채인가 싶기도 하다,

                앞쪽의 보수 중인 건물은  작은댁(동생집?)인지 모르겠다,


 


               



                 월정사,

                 등산로도 있고하여 산속의 정갈한 산사를 생각하고 이곳으로 왔다,

                 차에서 내리지 않고 그냥 되돌아 간다,



  



               월정사 앞의 일산봉 등산로 이정표이다,

               일산봉 2.6km 방향은 길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되지 않고, 일산봉 1.0km방향은 들머리가 임도이다,




                 ▣ 삼우당과 아름다운 절, 합천호 주변,




                합천호 주변 사진촬영 명소가 있다하여 드라이브 삼아 호반길을 달려본다,

                거창에서 합천호반을 따라난 24번 도로를 따라 가천교까지 간다,








                보이는 교량은 가천교이다,

                계속 진행하여 봉산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해인사 가는 길이고,

                우측 봉산교를 건너면 합천군 봉산면소재지로 이어진다,








               합천호,








                 엣 선사유적지를 건너다 보는 곳이라는데,

                 거창박물관 문화유산 해설사로 부터 상세히 설명을 들었는데 어디쯤인지 알수 없다,

                 하긴. 18호 태풍 미탁이 많은 비를 뿌리고 난 후여서 합천댐이 만수를 이루고 있어 볼 수 없을런지 모른다,

                 또다른 19호 태풍 하기비스가 일본을 향해 올라오고 있는 중이다,







                  거창군 남하면 대야리 1456 (남하면 영서로 485)

                  삼우당을 둘러본다.

                  입구의 정자이다,







                 삼우당(삼우당) / 경남도 문화재자료 제155호


                  이 건물은 동래 정씨 3형제 시수.시웅. 시승의 학덕을 기리고자 세워진 것이다,

                  선조. 인조 년간의 인물 정시수는 병자호란 때 의병을 모아 항쟁하였으며, 강화후에는 은둔하여 시부(詩賦)로 소일하는

                  것으로 절조를 지키고자 했던 유학자였다,

                  삼우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지금의 것은 합천댐 공사로 인한 수몰을 피해 1987년에 옮겨

                  지은 것이다,








                앞쪽에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2층 누각인 화수정이 있다,








                화수정 정자 양쪽에 방이 있어 일반적으로 보기 어려운 구조를 하고 있다,

















              육모정 가든 앞쪽에서 마을 구경을 나선다,

              남하 문화마을 표지석이 있다,







              이곳 삼우당이 있는 대야리 문화마을은 합천댐 수몰로 인해 이주단지인가?

              아님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예술인 마을?








                마을 입구에 '아름다운 절'이 있어 찾아본다,



                마을 한가운데 있는 아름다운 절은 보이는 건물이다,

                한옥으로 된 절을 찾아 이리저리,

                마침 이 절에 온 젊은이에게 아름다운 절이 어디있느냐 물었더니 이 집이 그집이다,







               절 앞면,








               절 내부,

               아름다운 절이 맞는것 같다,











                 ▣ 일원정 (一源亭) / 경남도 문화재자료 제78호.

 




                일원교,

                거창 남하면 무릉리과 남상면 전척리를 잇는 다리이다,

                거창군 관광안내도에 이 다리가 표시되지 않아 길이 있나? 없나? 궁금한 다리이기도 하다,







                 일원교에서 바라본 거창방향,








                 합천댐 방향이다,








               남하면 무릉리에서 일원교를 건너 우회전 하면 바로 일원정이 있다,








                     일원정은 1905년 선산 김씨 김숙자(金淑滋)의 후손들과 유림들이 건립했다,



                     정몽주, 길재, 김숙자, 김종직,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등 칠현을 제향하고 있으며, 예전에는 서원 역활도 했다,

                     이들 일곱분의 선현은 조선시대에 성리학의 정톧적인 계승자로 받들어지던 인물들이다,

                     건물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기와집이며, 전면에 툇마루를 두고 계자난간을 설치했다,

                   

                    






                   부속건물인 객사는  정면 5칸의 맞배지붕 기와집이며,








                                 건물 앞 황강 언덕에는 김숙자의 신도비가 세워져 있다,

















                  신도비 앞에서 바라본 거창읍내 방향,

                  건너다 보이는 곳이 창포원이다,




                ▣ 김숙자 사당 (김숙자 사당) /  경남도 문화재자료 제 126호.




                거창군 남상면 대산리 356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김숙자 사당을 찾아본다,

                대문은 굳게 닫혀있어 담 너머로만 보고 만다,








               조선 세종 때의 학자인 김숙자선생(1389~1456)을 추모가기 위하여 후손들이 1706년 건립하였다,



               김숙자 선생은 김종직의 아버지로 조선전기 문신이며 학자이다, 1414년(태종14)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고령현감,

               성균관사예 등을 지냈으며,  세조가 즉위하자 고향인 밀양으로 낙향하여 길재의 학통을 이어 정주학을 발전시키는

               등 학문에 전념하며 후진을 양성하였다, 효성이 지극하고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자세와 함께 남을 기르치기를 좋아

               했고, 길재의 학문을 아들에게 잇도록 하였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3량 구조로 된 맞배지붕 건물이고, 추원당(追遠堂)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으로 정면에 툇마루를 두고 계자난간을 둘렀으며, 평면 구조는 방 1칸, 대청 2칸, 방 2칸으로 되어 있다,







               정문인 명성문(명성문)은 정면 5칸 규모의솟을 대문으로 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1칸은 출입문으로, 양쪽 2칸은 방과 광 등으로 사용한다,

               사당은 출입문이 막혀 있는 관계로 볼 수 없다,

               김숙자 사당을 끝으로 거창 기행을 마무리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