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의 산

문경 선유동천 나들길

정헌의 티스토리 2019. 5. 20. 22:59

           ■ 문경 선유동천 나들길 

 

               오전 봉암사를 둘러보고, 오후엔 선유동천 나들길 탐방에 나선다,

               선유동천 나들길은 선유동 계곡코스와(1코스) 용추계곡(2코스)로 나눌수 있다,

               의병대장 이강년 선생 기념관에서 출발하여 선유 칠우대를 지나 선유구곡을 따라 오르는 구간과 대야 자연휴양림

               입구에서 용추계곡을 따라올라 월영대에서 돌아 나오는 코스가 있다, 시간이 된다면 1, 2코스를 연계하여 걸으면

               좋을 것 같다,

               오늘은 선유동 계곡코스만 걷기로 한다, 운강 이강년 기념관에서 학천정 까지는 편도 2.3km 또는 2.8km이다.

               이정표상 차이가 있어 어느 것이 정확한지 모르겠다. 왕복해도 4.6km 내지는 5.6km 이다.

               가은읍에서 벌바위 (대야산 들머리이자 시내버스 회차지)까지 운행하는 군내버스는 오후에는 2회쯤 운행하는 것

               같다,


 

           ▷ 가는 길





           ▷ 탐방코스

               운강 이강년 선생 기념관 - 선유동천길 - 학천정 - 선유동천길 - 이강년 기념관


           ▷ 탐방안내도




             이강년 기념관으로의 진입직전 도로 갈림길에서 칠우대쪽으로 (대충 보면 안내도 좌측 하단의 붉은 실선으로 표시된

             선유동천 나들길 구간)  차도가 신설되었으나 이 안내도에는 표시가 되어있지 않다,              




           ▷ 탐방후에




                선유동천 나들길을 걷기위해 이강년 선생 기념관으로 왔다,


                기념관 앞에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고,

                봉암사 참배객을 위한 임시주차장?이 제법 넓다,

                선유동천 나들길 들머리를 확인하고 이강년 기념관을 둘러본다,








               운강 이강년 기념관,





 



               운강 기념관 주변엔 음식점이 한 곳 있다,

               분위기가 운치있거나 깨끗한 집은 아니지만 그냥 한끼 때우는 데는 맛없다 소리는 안하겠다,

               주변에 보이는 식당은 이집 외에는 보이지 않으므로 다른 방법도 없다,








            운강 이강년은 문경시 가은읍 상괴리에서 태어났다,

            1880년 23살때 무과에 합격한 뒤 절충장군의 품계에 행용양위 부사과로 선전관에 임명되는 등 잠시 벼슬길에 나갔다,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나 정국이 혼란해지자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칩거했다,1894년 동학농민전쟁이 일어났을

            때는 양반 유생의 대열에서 일시 농민군을 진압하는데 가담하기도 했다,

  







              1894년 청일전쟁을 도발한 일제는 대한침략정책을 더욱 가속화하여 김홍집 친일내각을 내세우는 한편 군국기무처를

              설치하여 조선의 전통적 문물제도를 단기간에 변경하는 '갑오경장'을 추진함으로써 조선인들의 반감을 초래했다,

              특히 1895년간에는 변복령(變服令)의 공포에 이어 명성황후가 시해되는 을미사변, 단발령 반포 등 민족적, 문화적 자

              존에 치명상을 가하는 사건들이 연이어 일어나자 전국 각지에서 항일의병이 봉기하여 항일 반침략 투쟁을 전개한다,








              1894~1896년간에 걸쳐 춘천, 강릉, 원주, 제천, 안동, 홍성, 진주, 장성, 나주 등 전국 각지의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일어난 을미의병이 그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천에서 유인석을 주축으로 제천의병이 결성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이에 자극을 받아 1896년 2월

              23일 고향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의 직후 안동의병을 피해 도망하던 안동관찰사 김석중을 비롯하여  순검 이호윤,

              김인담 등 세사람을 생포하여 처단한뒤 군중이 모인 농암장터에 효수하여 기세를 높였다,

              그러나 2월 27일에는 고모산성에서 관군의 기습을 받아 개전 초기부터 고전하였다,








                이후 전력을 가다듬기 위해 안동의병장 권세연을 만나 연합전을 협의하였으나 별 성과가 없었고,

                제천 의병장 유인석을 찾아가 제자가 되어 일생동안 그를 스승으로 섬겼고 제천의병 유격장에 선임되어 큰 활약을 했다,
































              중식도 해결하고,

              운강선생 기념관도 둘러보고,

              선유동천 나들길을 따른다,

              언뜻 지형으로 보면 우측편 애기암봉 방향으로 강을 거슬러 올라야 할 것 같은데 건너편 도로쪽으로 간다,








             들머리에서 이정표 방향을 따라 하류쪽으로 쬐끔,








               징검다리를 건너,
















            신설된 도로 주변을 따라 간다,








               멀리 우측 암봉이 애기암봉,

               좌측이 장성봉인가 보다,
















                이강년 선생 기념관 앞에서 앞쪽 도로 주변의 나들길을 따라 이곳으로 왔다,

                당초 애기암봉쪽 계곡으로 이어가나 했는데,

                예측과는 달리 이곳으로 오니 감이 잡힌다,








                  칠우칠절(七愚七絶 / 어리석을 우, 끊을 절)



                  대한제국말엽 을사늑약, 한일 강제병합 등 국가 혼란기 지역유림 7인이 보인계 (輔仁稧)를 결성하여 (1916)

                  완장천 계곡 일곱구비의 절경을 이름 짓고 아름다움을 함께 완상하였다,

                  완심대(마음을 씻는 곳), 망화담(꽃잎이 담기는 연못), 백석탄(흰돌이 아름다운 여울), 와룡담(용이쉬는 연못)

                  홍류천(붉은 꽃잎으로 믈드는 계류), 월파대(달빛이 파도치는 곳), 칠리계(완장천 계곡의 시점)가 그것이다.

                  칠우칠곡 제1곡 완심대 안내표지판이 있으나 주변에 완심대를 볼 수 없다,

                  완심대는 이 표지판에서 100m쯤,

                  앞쪽 도로를 건너 강변에 있다,

  






                 완심대.

                 하천 정비공사로 인해 주변 운치는 없다,

















                   완심대(浣心坮)


                   완심대의 완자는 빨다, 세탁하다의 뜻이다,

                   따라서 완심대는 마음을 씻는 곳이다,

                   송나라 양기파의 선승 보각선사(다혜종고)의 어록 중 <浣心垢濁 解心執着 / 완심구탁 해심집착>에서 온 말로,

                   마음의 때를 씻어 버리고 마음의 집착을 풀어 버린다는 의미란다,








                   되돌아 와.

                   선유동천 길을 따른다,

















                          칠우대(七愚坮)


                          초입 비위 절벽을 칠우대라 명명하고 칠우들의 이름을 새겼다,

                          칠우들은 1884년(甲申) ~ 1888년(戊子)생이다,

                          칠우정원들이 남긴 <낭원총설>애 칠우대 기사, 절구와 율시가 전한다,

                          (낭원은 가은읍 완장리의 옛지명 낭풍원)


   





                칠우칠곡 제 2곡 망화담(網花潭) 꽃잎이 담기는 연못,



                넓다란 바위 옆에 새겨진 돌에 '망화담'아란 아름다운 글씨가 새겨져 있다,

                물에 떠잇는 꽃들이 많아서 그물질할 수 있는 못이란 의미의 망화담은 봄이면 칠우칠곡 각 굽이의

                꽃잎들이 떠 내려와 이곳에 이르러 맴돌아 꽃 연못을 이룬다,

                이곳 나들길에서 진입이 어려워 조금 멀리서 짐작만 하고 간다,








               망화담이 건너다 보이는 곳에 칠우정 유허지가 있다,



               칠우정 유허지 안내표지판 뒷쪽으론 숲이 무성하고, 보인계원들이 세운 칠우정은 오랜 세월어 무너져 유허만

               남아있다하나 정확히 어디를 말하는지 모르겠다,

               편액은 고종황제의 다섯째 아들이자 순종황제의 동생인 의친왕 이강이 내렸으며, (1919년 상해임시정부 탈출

               기도 만주에서 송환)향약과 같은 규약을 정하고 매년 11월 5일 회합을 가졌다,



               칠우정 칠경은 칠우정에 올라 느끼는 정취를 말한다,

               둔덕청풍(屯德淸風): 둔덕산의 서늘한 바람  

               강복신월(降福新月): 하늘이 내려준 초승달

               봉암조양(鳳巖朝陽) : 희양산의 아침햇살   

               용추모우(龍湫募雨): 용추계곡의 저녁비 

               주항낙조(舟項落照) : 해질녁 서쪽하늘의 노을     

               완계수석(浣溪水石) 완장천의 맑은 물과 바윗돌  

               고사송등(古社松燈) : 소나무 틈새 옛집의 등불 빛.
























               칠우폭포


               둔덕산 동편 능선에서 발원하여 골짜기를 따라 흐른다,

               평시에는 건폭이나 여름철 우수기에는 수량이 많아 시원함을 더한다고 안내하고 있으나

               폭포도 아닌 것?을 과장하하여 표현하는 방법이 절묘하다.

















              저곳 다리 밑의 바위가 시선을 끈다,








              칠우칠곡 제3곡 백석탄(白石灘)








                  백석탄은 흰돌이 아름다운 여울이다,


                  흰 돌들 사이로 흐르는 맑은 시냇물이 바위로 인하여 여울을 만들며 흘러가니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시원한 느낌을 가지게 한다,

                  그 옛날 칠우들은 이 굽이에 이르러 망국으로 인하여 가졌던 울분을 삭였다,








               칠우정 0.4km, 학천정 1.7km.








               모우정(慕憂亭)이라 이름 붙였다,








                이강년 기념관에서 1.9km 지점이다,

                학천정 까지는 1.4km 남았다,








             징검다리를 건너 곧바로 보이는 길을 따라가도 되지만,

             이 구간 계류를 따라 걷는 것도 좋다,








                묘하게 형성된 바위,

                주변 바위와 확연히 구분된다,








             계류를 거슬러 오른다.








                     제4곡 와룡담(臥龍潭)


                     용이 쉬는 연못,

                     바위에 새겨진 와룡담 글씨는 해서와 초서를 배분, 조합하여 절묘한 느낌을 준다,

                     위에서 내려오던 시냇물이 이곳에 이르러 큰 못을 이루면서 넘실겨려 마치 용이 누워서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준다고 안내하고 있으나 세월이 흘러 큰 못까지는 아니다,








               와룡담 주변,


              














              와룡담을 지나 조금 오르면,








               제5곡 홍류천,

               와룡담 쬐금 상부이다,








                홍류천은 붉은 꽃잎으로 물드는 계류다,



                홍류(紅流)는 붉은 물을 의미하며 실제로 물이 붉을 수는 없으나 이것은 물위에 붉은 꽃이 떨어져 흘러갔기 때문이다,

                이 곳은 물살이 천천히 흐르고 있어 붉은 꽃잎들이 물을 가득 메우고 흘러가기에 홍류천이라 하였다,
























               6곡 월파대의 안내표지판은 보지 못했다,

               이 인근쯤 될 듯.








               주변,








              칠우칠곡 제 7곡 칠리계(七里溪)

              우측 바위위에 칠리계 각자가 있다,








                   칠리계 완정천 계곡의 시점,



                   이 여울이 7리에 걸쳐있다 하여 칠리계라 불린다,

                   널따란 바위가 약간의 결차를 가지고 있어 선유구곡에서 흘러오믄 물이 이 굽이에 이르면 작은 폭포를

                   이루며 완심대까지 칠리에 걸쳐 흐른다,

                   선유구곡 옥하대의 경계이다,







                       칠리계 음각 글씨는 안내표지판 건너편 바위에 있어 잘 안보일 수 있으나

                       조금 유의하면 찾을 수 있다,
























               칠리계 상부,

               이곳은 선유구곡 제1곡이 시작되는 옥하대인가 보다,








              선유구곡중 제1곡 옥하대(玉霞臺)


              白石朝暾 相暎華 (백석조돈 상영화)  흰 돌에 아침 햇살 비쳐 밝게 빛나고

         晶流寒玉 紫騰霞 (정류한옥 자등하)  맑은 시내 찬 물결에 안개 붉게 오른다,

              閒尋題字 迷難辨 (한심제자 미난변)  한가로이 새겨진 제자 찾기 어렵고

              只有白雲 臺上遐 (지유백운 대상하)  흰 구름만 누대 위로 저 멀리 자리하네

 

                   놀 하(霞),  아침해 돈(暾) ; 아침 해, (해가)처음 돋다, 비추다. 찾은 심(尋) ; 찾다, 캐묻다.

                   멀 하(遐) ; 멀다








                 파적곡(破寂曲)


                 파적곡은 고요함을 깨뜨림이다,

                 칠우중의 한분으로 낭원총설(낭원: 완장리의 옛지명 낭풍원)의 편자인 우당 김종훈이 지은 가사로 전한다,

                 칠우정대에 올라 계곡의 흥취를 노래한 것으로 내용에는 선유구곡 옥석대와 장군손바위(선인장,仙人掌)도

                 보인다,








                   옥하대
















              선유1곡 옥하대에서 조금 오르면 우측으로 넓은 반석이 있다,








              선유 제2곡 영사석(靈槎石)이다,



              以石爲槎 喚作靈  (이석위사 환작령 )  돌로 떳목 삼아 선령을 부르거늘

              中流停著 歲冥溟  (중류정저 세명명)   기내 가운데 머무르니 세월이 아득하네

              傍崖又有 仙人掌  (방애우유 선인장)   벼랑 곁엔 또한 선인의 자취가 있으니

              一路窮源 指可聽  (일로궁원 지하청)   한 길로 원두를 찾아가면 만날 수 있으리


              槎 : 나무벨 차, 떼(뗏목) 사,  喚 : 부를 환   停: 머물를 정,  著: 나타날 저,  傍: 곁 방, 掌:손바닥 장








               영사석 이정표에서 곧장 선유동천길을 따르면 장군손바닥 바위를 볼 수 없다,

               장군 손바위는 건너편에 있다,


            













                 장군손바위








                        조선후기 실학자 이긍익(1736~1836) 저서 <연려실기술>, <산천의 형성>조에 의하면,

                      「선유산은 청화산의 동북쪽에 있다, 위에 칠성대(七星臺) 와 호소룰(虎巢窟)- 진인 최홍과 도사 남궁두가 도를 

                        닦던 곳이 있다, 시냇물이 흘러 내려가 낭풍뭔(완장리의 옛 지명)이 되고, 동쪽으로 흘러 견탄으로 들어간다,」

                        고 기록되어 있다. 이 바위에 새겨진 손바닥 자국은 먼 옛날 이곳 선유구곡에서 수련하던 선인의 자취라 전해

                        오고 있다,







              이 구간은 선유동천 나들길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건너편 길을 따르는 셈이다,

              개인 사유지인지 주변을 많이 가꾸었다,








              아래 영사석 안내표지판에서 정상적인 나들길을 따르면

              보이는 다리 건너편으로 이어진다,








               선유구곡 제 3곡 활청담 이정표가 있다,








                활청담(活淸潭)


                靜處從看 動處情  (정처종간 동처정)   마음으로 정처에서 동처를 바라보니

                潭心活活 水方淸  (담심활활 수방청)   못속이 활발히니 못물이 맑아지네

                本來淸活 休相溷  (본래청활 휴상혼)   본래의 맑은 마음 흐리게 하지 말라

                一理虛明 道自生  (일리처명 도자생)   이치가 허명하면 도는 절로 생기리라,

          

                溷 어지러울 혼



 












                제4곡 세심대洗心臺)



                虛明一理 本吾心    허명일리 본오심    허명한 이치가 본디 내 마음이거늘

                枉被紛囂 容染深    왕피분효 옹축심    부질없이 세상사에 길이 물들었네

                到得玆臺 思一洗    도득자대 사일세    이 대에 이르러 한번 씻길 생각하니

                肯留滓穢 分毫侵    긍유재예 분호침    어찌 목은 때를 추호라도 두겠는가,

 

                囂: 들렐 효,(야단스럽게 떠들다, 시끄럽다,공허하다.)  많을 오,  染 :물들 염, 玆 :이자, 검을자, 검을현,

                滓: 찌기 재, 찌꺼기 자, 더럽힐 치.

 






               세심대 주변,








  








               무슨 글자지?








               구로천 각자가 있는 바위,








            구로천.








                구로천 각자가 있는 바위 상부쪽,








          세심대 아랫쪽,









              세심대 안내표시판 쪽으로 내려와,









       운강 이강년 기념관에서 2.4km쯤

       학천정 0.64km남았다,








              세심대에서 선유동 나들길을 따라 조금 오르면 구은대 연혁비가 있다.

              일제압정이 우심하던때  순천김씨족 내 구로(九老)가 구로회를 조직하고 이곳 선유동에 들어와 구로천

              각자를 새기니 구곡경치가 더욱 총궐하게 된다는 내용?








             제5곡 관란담








               관란담 (觀瀾潭)



               潭上湍流 瀉作瀾  (담상단류 사작란)    못 위의 급한 살 쏟아져 이룬 물결

               到來潭處 勢全寬  (도래담처 세전관)    연못에 이르러선 그 기세 잔잔하네

               觀他有本 元如是  (관타유본 원여시)   원래 이와 같이 근본 잇는 물결 보니

               照得吾心 一鑑寒  (조득오심 일감한)   차가운 수면위에 내 마음 비춰보네

















              관란담 우측 바위에 구은대 각자가 있다,
























               제6곡 탁청대(濯淸臺)


               臺前流水 絲漪橫   (대전유수 사의횡)    누대 앞에 흐르는 물 일어나는 실물결에

               一濯長纓 萬累經   (일탁장영 만누경)    한 번 긴 갓근 씻으니 온갖 근심 가벼워라

               想像損翁 當日趣   (상상손옹 당일취)    손옹이 사신 그 때 가진 흥취 상상하니

               滄浪一曲 玩心明   (창랑일곡 완심명)    푸른 물결 한 구비에 완심이 밝아지네



               漪 : 잔물결 의,  濯: 씻을 탁,   纓: 갓끈 영  玩:희롱할 완







             제7곡 영귀암(영귀암)


             臨流盡日 弄晴暉   (임류진일 농청위)   물에 임해 온종일 맑은 빛 즐기다가

             風欲隨時 可詠歸   (풍욕수시 가영귀)   수시로 바람쐬고 읊조리며 돌아온다,

             不必沂雩 能撰志   (불필기우 능찬지)   꼭 기우가 아니라도 뜻을 펼 수 있으니

             巖臺自足 振春衣   (암대자족 진춘의)   바위 누대 자족하며 봄옷을 떨치리라.



             晴 : 갤청,  暉: 빛 휘. 撰 : 지을 찬,  가릴 선.    振: 떨칠 진








                 영귀암 주변,
























































            제8곡 난생뢰(鸞笙瀨)


            琮琤石瀨 奏笙鸞   종쟁석뢰 주생란   돌여울 무소리 난새의 노래소리

            縹渺仙踪 底處看   표묘선종 저처간   저아래 아득히 신선 자취 보인다,

            從告閬林 多怪秘   종고랑림 다괴비   옛부터 신선 사는 곳엔 신비롭고 괴이하니

            雲間鷄犬 是劉安   운간계견 시유안   구름사이 닭과 개는 바로 유안이네.

 

            琮 : 옥홀(제후가 조회할대 전자가 지니던 옥으로 만든 홀) 종,  瀨여울 뢰, 여울 뇌,  奏 아뢸 주,  笙 생황생

            鸞 난새 란, 난새 난    縹 :휘날릴 표, 옥새 표,  渺 : 아득할 묘,  踪: 자취종,  솟을대문 랑























                          옥석대로 왔다,

















              제 9곡 옥석대(玉舃臺)

 

              全石跨溪 鏡面開     전석과계 경면개      시내가 흐르는 전석엔 거울이 열리고,

              凹爲泉瀑 峙爲臺     요위천폭 치위대      파인곳은 폭포 되고 언덕은 누대 된다.

              仙人遺寫 今何在     선인유사 금하재      선인의 남긴 자취 지금은 어디에 있는가

              應有雙鳧 葉縣來     응유쌍부 섭현래      섭현에서 날아온 두마리 오리가 있으리

 

              舃 : 신(신발) 석,  跨 타넘을 과,























           위쪽에서 내려다 본 옥석대.
















           선유동(仙遊洞)

           나뭇잎 그림자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건너편 학천정,

              현판이 비스듬히 걸려있다,








              다리를 건너 학천정으로 간다,








           운강 이강년 기념관에서 이곳 학천정 까지는 2.8km

           용추는 1.7km를 알린다,

           용추계곡은 과거 대야산 산행시 몇번 걸은적이 있어 오늘은 학천정 까지만 탐방하지만,

           이곳이 초행이라면 용추폭포를 지나 월명대까지 갔다오는 코스도 좋다,








                다리를 건너,








               계곡 상부,








                학천정,

                학천정은 숙종부터 영조까지의 학자 도암 이재(1680~1746)를 기리기 위해 1906년 후학들이 세운 정자다,








              영각(影閣)
















           학천정 영각 우측 뒷편 암벽에 山高水長 글씨가 큼지막 하다,








              선유교,


              보이는 길을따라 조금 오르면 차도이다,

              지금 시간이 3시 20분을 넘고있다,

              벌바위에서 이강년 선생 기념관을 지나 가은으로 돌아가는 군내버스는 6시 조금 넘은 시간에 있다,

              걸어서 되돌아 가기로 한다,



              





             이강년 기념관에서 이곳 학천정 까지 2.8km(일부 이정표엔 2.3km) 구간에 소요된 시간이 1시간 40분이다,

             아주 천천히 쉬어가면 오른 시간이다,

             길 또한 급한 오르막이 없어 걷기 수월하다,








             학전정에서 이강년 기념관까지 내려가는데는 1시간이면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