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의 일상들

산청 남사 예담촌

정헌의 티스토리 2013. 9. 15. 20:50

           ■ 남사 예담촌

 

               예담촌은 산청군 단성면 남사마을의 또다른 이름이다.

               비교적 근년에 오랜 세월을 묵묵히 지켜온 옛 담의 신비로움과 전통과 예를 중요시하는 이 마을의 단정한 마음

               가짐을 담아가자는 의미에서 예담촌이라 이름지었다.

               안동의 하회마을처럼 잘 보존된 곳은 아니지만, 돌담과 고가, 낡은 재실, 학당등을 조용히 둘러보러 오시는 분

               들이 차츰 늘어나고 있다.

               요즘 국악계에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하는 기산 박헌봉 선생의 생가와 국악당을 복원하였고, 유림독립기념관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

             

           ▷ 가는 길

               진주 - 산청 단성면 남사리          

 

 

 

 

           ▷ 산책코스

               예담촌 주차장 -  이씨고가 - 사효재 - 니사교 - 기산 생가 및 국악당 - 유림독립기념관 - 초포동교 - 최씨고가

               ( 2013. 9. 8 )         

 

           ▷ 안내도 

 

 

 

 

 

            ▷ 산책후에

 

 

 

          △ 산청군 단성면 남사예담촌 주차장 앞에 남사예담촌을 알리는 안내판이 있다.

 

 

 

 

 

 



                              △ 주차장에서 도로 우측으로 이내 있는 이씨 고가를 먼저 둘러본다.
                                  이씨고가로 들어가는 입구의 회화나무이다.













 

 

 

          △ 이씨 고가의 대문은 잠겨있다.

 

 

 

 

 

 

 

 

 

          △ 따라서 담 너머로 살짝 넘어다 본다.

 

 

 

 

 

 

 

 

 

 

          △ 이씨 고가에서 나와,

 

 

 

 

 

 

 

 

 

          △ 물레방아 방앗간으로 이동한다.

 

 

 

 

 

 

 

 

 

          △ 물레방아 방아간 앞쪽의 예담이란 찻집을 겸한 음식점이 있다.

              예담촌에는 여러 식당이 있지는 않다. 

              주차장 안쪽에 예담원이란 음식점 정도이다.

 

 

 

 

 

 

 

          △ 아담한 여사정 앞을 지나,

 

 

 

 

 

 

 

 

 

          △ 사효재를 둘러 본다.

 

 

 

 

 

 

 

 

 

          △ 사효재(思孝齋)는 아버지를 해치려는 화적의 칼을 몸으로 막아낸

              영모당 이윤현의 효심을 기리는 재실이다.

 

 

 

 

 

 

 

 

 

          △ 사효재 옆에

              이제 개국공신 교서라는 안내표지판 옆에 이제교지비가 있다.

 

 

             이제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시호는 경무(景武)다.

             1352년(공민왕1) 좌대언(左代言)이 되었고, 그해 밀직제학(密直提學)으로 연저수종공신(燕邸隨從功臣) l등에 책록,

             태조 이성계의 셋째딸 경순공주(慶順公主)와 결혼하였다.

             1392년 전법판서(典法判書)로 정몽주(鄭夢周)를 죽이고 조선의 건국을 도와, 개국공신 1등으로 홍안군(興安君)에

             봉해졌으며 의흥친군위절제사(義興親軍衛節制使)가 되었다.

             이듬해 우군절제사(右軍節制使)가 되었으나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때 태종 이방원에게 살해되고 부인인 

             경순공주는 비구니가 되었다. 세종 때 신원(伸寃)되어 태조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태조 이성계에게서 받은 개국공신교서는 1999년 6월 19일 보물 제1294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수량은 1축이며,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는 개국공신 교서로  조선시대 최초의 공신 교서 형식을 알 수 있어 역사적,

             사료적  가치가 큰 보물이다.

 

      

                                                   <산청군청 문화관광과>

 

 

 

 

 

 

 

 

          △ 남사마을 옛 담장을 둘러본다.

 

 

 

 

 

 

 

 

 

 

 

 

 

 

 

 

 

 

 

 

 

 

 

 

 

 

 

 

 

 

 

 

 

 

 

 

 

 

 

 

 

 

 

 

 

 

 

          △ 남사마을 옛담장을 둘러보고.

           상사마을쪽 니사교를 건너면 니사재가 있다.

 

 

 

 

 

 

 

 

 

 

          니사재(尼泗齋)는 박씨 선조 송월당 박호원을 기리며 학문 연마의 장소로 사용되었던 곳이라 한다.
              현재 문화재 제328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으며,

 

              이순신 장군이 정유년(1597년) 6월 1일 권율 도원수부가 있는 합천(율곡)으로 가는 길에 하룻밤 유숙한 곳이기도 하다.

 

 

 

 

 

 

 

 

 

 

 

 

            △ 송월당 박호원(1527 - ?)은 세종대왕때의 명재상인 황희정승의 5대 손녀와 결혼한 박이의 아들로

              본관은 밀양, 호는 송월당이다.

              조선 전기 (명종 17년) 토포사의 종사관으로 임꺽정의 난 진압에 공을 세우고 대사헌, 호조참판

              등을 지냈다. 

  

 

 

 

 

 

 

 

             △ 기산 박헌봉 선생 생가 및 기산 국악당이다.

              기산관, 기념관, 교육관 3동을 전통한옥 양식으로 건립하고, 개관식을 갖는다.

 

 

 

 

 

 

 

 

 

             △ 기산 선생은 이곳 단성면 출생으로 휘문고보를 졸업하시고, 

              1945년  국립국악원 창설을 주도. 초대 원장을 지냈으며,

              1960년에는 국악예술학교(현 서울 국악예술고)를 설립, 초대 교장을 지낸 우리나라 국악 교육의 선구자 이다.

           

 

 

 

 

 

 

 

          △ 우측으로 기념관이 있다.

 

 

 

 

 

 

 

 

 

            △ 여러 국악기가 보관되어 있다.

 

 

 

 

 

 

 

 

 

 

 

           △ 기산 생가 인근에 기산재와 망추정이 있지만 탐방을 생략하고,

             니사재 앞쪽으로 내려와 예담길을 따른다.

             망추정(望楸亭)은 밀양 박씨 문중의 재실로 송월당 박호원의 모친 황씨묘소 옆 분암이었다가

             여러 번 중건되어 박씨문중의 유생들이 공부하는 곳으로 사용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예담길 입구의 커다란 바위에 새겨져 있다.     

 

 

 

 

 

 

 

 

 

 

 

 

 

             △ 예담길엔 몇개의 짧은 거리에 이름을 붙였다.

              개구장이길, 배움의 길, 자립의 길, 뜻을 이루는 길, 인생을 아는길, 평온의 길, 마음의 길이 그것이다.

 

 

 

 

 

 

 

 

 

            △ 두번째 배움의 길쯤 될거다.

              중간, 낡은 채남정을 볼 수 있다.

 

 

 

 

 

 

 

 

 

          △ 징검다리도 있다.

 

 

 

 

 

 

 

 

 

 

 

          △ 유림독립기념관

            개관을 10월 8일로 잡고, 한참 마루리 단계이다.

             

 

 

             

 

 

 

 

 

 

           △ 개관전,

             내부를 둘러 본다.

 

 

 

 

 

 

 

 

 

 

 

 

 

 

 

 

 

 

 

 

            △ 내부는 전시관과 영상관으로 구분된다.

 

 

 

 

 

 

 

 

 

 

 

            △ 먼저 전시관을 둘러 본다.

 

 

 

 

 

 

 

 

 

 

 

 

 

 

 

 

 

 

 

 

 

 

 

 

 

 

 

 

 

 

 

 

 

 

 

 

 

 

 

 

 

 

 

 

 

 

 

 

 

 

 

 

 

 

 

 

 

 

 

 

 

 

 

 

 

 

 

 

 

 

 

           △ 영상관.

 

 

 

 

 

 

 

 

 

 

 

             △ 유림독립기념관을 둘러보고 바로 이웃에 있는 이동서당을 둘러본다.

 

 

 

              면우 곽종석 선생은 산청 출생으로 고종 초기 음보(蔭補)로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이 되었으며,

              1903년 비서원승(秘書院丞)에 특진하였고, 이어서 참찬(參贊)으로 시독관(侍讀官)을 겸한 인물이다.

              l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폐기와 조약 체결에 참여한 매국노를 처형하라고 상소하였고,

              1910년 국권이 침탈되자 고향에서 은거하다가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전국 유림(儒林)들의 궐기를

              호소하고, 거창(居昌)에서 김창숙(金昌淑)과 협의하여 파리의 만국평화회의에 독립호소문을 보내고

              옥고를 치렀다.

              이동서당은 면우 곽종석 선생을 기리기 위해 유림과 제자들이 1920년에 설립한 서당이다.

 

 

 

             



 

 

 

 

           △ 이동서당 앞 마당에 면우선생 유허비가 있다.

 

 

 

 

 

 

 

 

 

 

 

              △ 이동서당이 있는 마을에 초포정사가 있다.

               보수할 자금이 부족하여, 대문간은 천막으로 지붕을 덧씌웠다.

 

 

 

 

 

 

 

 

 

 

           초포정사(草浦精舍)는
               이씨 문중 소유로 월포공이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후학을 가르치던 곳으로

               나중에 후손들이 황폐된 것을 다시 세웠다.

 

 

                       

 

 

 

 

 

            △ 유림 독립기념관을 둘러보고,

              초포동교를 건너 남사 마을로 되돌아 온다.

 

 

 

 

 

 

 

 

 

             △ 적의 마을 돌담길을 돌아,

                 주차장 뒷편에 위치한 최씨고가를 둘러 본다.

 

 

 

 

 

 

 

 

 

          △ 최씨고가 가는 길.

 

 

 

 

 

 

 

 

 

 

 

          △ 대문을 지나,

 

 

 

 

 

 

 

 

 

 

          △ 본채를 둘러 본다.

 

 

 

 

 

 

 

 

 

 

 

              △ 사양정사를 둘러보러 간다.

               가운데 예담촌 주차장에서 마을쪽을 바라 보았을때 우측 됫편에 있다.

 

 

 

 

 

 

 

 

 

 

            △ 돌담을 지나 사양정사에 도착한다.

 

 

 

 

 

 

 

 

   

 

 

           △ 사양정사.

 

 

               한말 유학자 계재 정재용(1865-1907) 의 아들 정덕영과 장손 정종화가 남사로 이전한 후 선친을 추모하기 위하여

               한 정사로 1920년대 지어졌다.

               정재용은 포은 정몽주 후손으로,

               한말 유학자 후산 허유와 유림을 대표하여 파리장서를 작성한 면우 곽종석의 문인이다.

 

 

 

 

 

          

 

 

           △ 사양정사란 "사수"남쪽의 학문을 연마하는 집이라는 뜻이라 한다.

 

 

               여기서 사수란 공자의 고향인 중국 산동성 곡부에 있는 강 이름인데

               공자를 흠모하는 뜻으로 남사마을 뒷편으로 흐르는 개울을 사수라 부르고 정사가 개울 남쪽에 있어

               "사양정사"라 이름하였다 한다.

               건립후 주로 자손을 교육하고 문객을 맞아 교유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산청군청 문화관광과>

 

 

 

 

 

 

 

 

          △ 사양정사 옆쪽으로 오래된 배롱나무와 작은 대문이 보인다.

 

 

              대문을 통과하면 정씨 집안의 종가댁이라 할 수 있는 선명당과 연결된다.

              선명당은 앞집 감나무와 원정매를 둘러보고 정문으로 들어가 둘러볼 거다.

 

 

 

 

 

 

 

 

             △ 사양정사 바로 앞에 수령 700년의 감나무가 있다.

               대문으로 들어서면 바로 있어 골목에서도 보인다.

 

 

 

 

 

 

 

 

 

              △ 고려말 원정공 하집의 손자가 어머님의 자애로움을 기리가 위해 심은 것으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감나무라 한다.

               전형적인 토종 반시감으로 산청 곶감의 원종이기도 하며, 지금도 감이 열리고 있다.

 

 

 

 

 

 

 

 

 

           △ 감나무 사이로 난 길을 따라 들어 간다.

 

 

 

 

 

 

 

 

 

 

 

          하씨고가에 수령 약 670년의 산청삼매 중의 하나인 원정매가 있다.

 

 

              고려 원정공 하집이 심은것으로 등걸은 古梅로서의 품격을 갖추고 있고,

              3월말이면 연분홍 꽃을 피운다

              매화집이라는 문패가 걸려있는 집으로 원정매 앞에는 자그마한 시비가 있다.

              이집운 진양하씨가 32대째 살고있는 집으로, 원정구려 현판이 걸려있다

              지금의 원정매는 긴 여정을 내려놓고 밑둥치에서 싹을 틔운 자손에게 대를 잇게 했다.

 

 

 

 

 

 

                                  

     

                                                원정매

 

                               집 양지바른 곳에 일찍심은 한그루 매화

                               찬겨울 꽃망울 나를위해 열었네

                               밝은 창에 글읽으며 향피우고 앉았으니

                               한점 티끌도 오는 것이 없어라

     

                                               영매詠梅 (원정공매화時)

 

 

 

 

 

 

 

 

 

            △ 감나무, 매화나무를 둘러보고 보이는 대문 앞쪽으로 돌아가면,

 

 

 

 

 

 

 

 

 

 

 

 

            △ 또다른 고택을 만난다.

 

 

 

 

 

 

 

 

 

 

 

            △ 마당 한켠에 수령 약 220년의 단풍나무가 있다.

 

 

 

 

 

 

 

 

 

            △ 선명당이다.

              선명당 옆으로 난 길은 사양정사 옆 대문으로 통한다.

 

 

 

 

 

 

 

 

 

          △ 관리상태나 여러모로 화려하고, 깨끗이 단장된 마을은 아니지만,

              안내도 한장 들고 쉬엄 쉬엄 구석 구석 둘러 보심도

              한나절 보냄에 부족함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