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문경 희양산 봉암사

정헌의 티스토리 2019. 5. 17. 18:21

           ■ 문경 희양산 봉암사 

 

               아무때나 갈 수 없는 곳,

               그래도 한번쯤 가보고 싶은 곳,

               부처님 오신날 봉암사로 간다,

               토요일 조금 일찍 출발하여 문경지역 몇 군데를 둘러보고 문경에서 숙박 후 봉암사와 선유동천길을 걸을

               수 있으면 좋은데, 지역학 R&D, 국립공원에서 운영하는 시민대학 등에 참여하다 보니 저녁 때 문경으로

               간다, 문경에서 1박 하고, 다음날 오전에 봉암사, 오후엔 선유동천길을 걷는다,


 

           ▷ 가는 길



 



           ▷ 탐방코스

               봉암사 - 백운대(마애불)   (2019. 5. 12.)



           ▷ 탐방후에




                 문경시 가은읍 하괴리.

                 가은읍소재지에서 가은초등학교 희양분교와의 중간쯤 지점에 있는 도로변의 마을이다



                 이곳에서 희양분교까지 약 2.4km 도로변 한쪽이 주차장이 되어버린 탓으로 더 이상 진입할 수 없다,

                 이러다 보니 이곳에서 희양분교 앞까지 별도로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셔틀버스는  희양분교를 가운데 두고 이곳 하괴마을과 반대편 이강년기념관 주차장(희양분교와는 약 2km 거리임)

                 에서 희양분교까지 1차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희양분교(정확히는 봉암사로 진입하는 도로변 농협창 앞)에서 봉암사 주차장까지 약 3.3km 구간은 별도로 2차

                 셔버스가  운행된다, 

                 따라서 아주 이른 시간에 회양분교나 인근에 주차 할 수 있으면 희양분교 앞에서 셔틀버스를 타면 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두번 갈아타야 한다,








                하괴마을에서 한참 대기 끝에 셔틀버스를 타고 희양분교 앞 상괴마을로 간다.








                상괴마을(희양분교)에서 봉암사 방향으로 200m쯤,



                상괴마을 농협창고 앞에서 봉암사 주차장 사이를 왕복하는 셔틀버스로 갈아탄다,

                농협창고 앞에서 버스를 타는 이유는 대형의 버스가 회차 할 곳이 이곳 만한 곳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곳도 좁기는 마찬가지다,









                 셔틀버스의 정원개념은 오늘은 예외다,



                 참배객은 많고, 승차정원 몇명 따지다가는 이 많은 인원을 수송할 수 없다,

                 따라서 대기하고 있는 줄이 길어도 정원 초과하여 수송하기에 차례는 생각보다 빠르다,

                 길가의 주차차량, 그로 인한 교행의 어려움,  배차시간 등등의 이유로 버스를 기다려야 하는 인내심은

                 필요하다,








               봉암사 주차장,

               벌써 봉암사 참배를 마치고 나가는 분들의 행렬도 길다,








                  지금 시간이 9시 50분,



                  가은초등학교 희양분교 주변의 마을이 행정구역상 상괴리이며.

                  봉암사 골짜기로 들어서면 원북리로 바뀐다,

                  도로를 따라 도보로 봉암사에 간다,

                  임시로 장이 섰다, 개량한복, 그릇. 호떡, 풀빵, 옥수수, 커피 등등............

                  그러나 식당은 없다,








               뒤로 보이는 산이 희양산이다.








                 군데군데 우측 계류의 암반이 넓은 반석을 이루고 있다,








                 포장된 도로가 끝나는 곳에 출입통제소가 있다,



                 봉암사는 신라 헌강왕 5년 지증국사께서 구산선문의 하나로 창건하고 고려태조 18년 정진대사께서 중창한 이래

                 선원으로 전해진 곳으로 불철주야하고 정진하는 곳이니 출입을 삼가해 달란다,

                 또한 한켠의 안내문에는 입산통제구역이고,  봉암사 희양산은 스님들이 수행정진하는 조계종 특별수도원으로서

                 산림법에 의해 규제를 받게된다는 안내문도 있다,

                 우리가 알기에는 봉암사는 1년에 한번 사월 초파일에만 일반인 들에게 개방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칠월칠석에도

                 개방한다는 애기가 있고, 또한 일반인이 아닌 사람은 수시참배도 가능한가 보다,








                봉암사 가는 길,




 












                 희양산,



































                봉암사 직전에 주차장이 있다,








               위 주차장 끝에 갈림길이 있다, 

               평소때 같으면 우측 도로를 따라 경내로 진입할 것 같은데,

               오늘은 직진하는 길로 안내한다, 

               즉,  이곳 주차장에서 봉암사 경내로 들어가는 길이 하천을 가운데 두고 양쪽으로 길이 있다.








                  일주문을 지난다,












































              저만큼 다리를 건너면 봉암사 경내이다,








                 위 다리를 건너기 직전에 마애불 가는 길이 있다,



                 갈림길에 조그만 마애불가는 길 이정표가 있다,

                 마애불 가는 길은 계곡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길이 있다,

                 노약자라면 이 길보다 다리를 건너 계곡을 좌측에 두고 오르는 길이 넓고 (마지막 일부를 제외하고 임도임)

                 걷기도 수월하다,









               먼저 절을 둘러본다,





 



               위 다리에서 올려다 본 계곡 상류,

               뛰어난 계곡미를 보이는 곳은 아니다,








               먼저 만나는 건물이 남훈루(南薰樓),





 



                 남훈루를 들어서면  계단을 올라 앞쪽에 대웅보전이 있고,








                좌측 상부에 위치한 요사,








                  우측으론 요사 내지는 공양간 건물이 있다,



 





                어느쪽부터 둘러보아야 할지 싶어 옆쪽으로 나가본다.

                대웅보전, 보림당, 극락전, 산신각, 동방장. 


             






              안쪽에서 내려다 본 남훈루,








                먼저 대웅보전을 둘러본다,








                여타 절과는 달리 이곳은 온통 흰 등이다,
















              대웅전 앞에서 내려다 본 남훈루쪽,








              대웅전 앞에선 애기부처 목욕을 시키는 긴 줄을 서 있고,



 





                법당 내엔 부처님 오신날 봉축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옆에서 본 대웅보전,








                대웅보전을 앞에서 바라보았을때 우측에

                극락전이 있고,








              그 옆에 조그만 산신각이 있다,








            산신각 앞에서 바라본 극락전과 대웅보전,

















                 앞에서 바라본 극락전,








                  보림당(寶林堂)








                 동방장.








                    공앙간 우측 앞 건물인데 요사이지 싶다,








               남훈루,








                 대웅보전, 극락전, 산신각, 동방장을 지나 대웅보전 앞 마당으로,

                 보림당 건물을 시계방향으로 한바퀴 돈 셈이다,








               대웅보전 앞마당 좌측 건물옆을 지나면.








              삼층 석탑이 있고,








             그 뒷편에 금색당이 있다,








                  앞쪽의 요사(청풍각?)는 개축 중이다,








                 삼층석탑과 금색전,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 보물 제169호



                          이 탑운 건물의 댓돌에 해당하는 기단부(基壇部), 탑의 중심이 되는 탑신부, 꼭대기의 머리장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통일신라의 석탑은 기단이 2단이나. 현재 땅 위로 드러나 있는 이 탑의 기단은 1단이다,

                          특이한 것은 지면과 맞닿이 있어야 할 탑의 받침돌 밑면에 또 하나의 받침이 있어 혹시 이것이 아래층 기단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그러기에는 너무 넓어 보인다. 또 하나의 특징은 머리장식 모두가 완전히 남아있

                          어서 한국 석탑의 기준이 되는 귀중한 유례라는 점이다, 탑의 머리장식은 인도의 탑에서 유래했으며 인도탑의

                          소형화가 우리나라 탑의 머리에 적용되었다, 탑의 가장 윗부분에 놓이며 여러 개의 구성요소가 차례로 올려져

                          가장 장식적으로 마련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9세기 통일신라 헌덕왕(재위 809~826)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

                          는 이 탑은 기단 구조가 특이하고, 탑신의 각 층 비례와 균형이 적절하여 아름답다,



                                                                        < 안내문에서>







                  범종각,








               금색전 뒤로 가면,
















                         봉암사 지증대사 탑  / 보물 제 137호,



                         이 탑에는 봉암사를 처음 건립한 지증대사(824~882)의 사리가 모셔져 있다,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이 탑은 신라 헌강왕 8년 (882)에 세워졌으며, 여러 장의 판석으로 짜여진

                    방형의 지대석 위에 각부의 장식 조각이 섬세하고 수려하게 제작되어 신라 사리탑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탑의 높이는 3.41m, 지대석 너비 2.28m의 당당한 탑이다,

       







                       지증대사는 경주김씨로 17세에 부석사(浮石寺) 경의율사로부터 구족계를 받고 승려가 되었다,

                       헌강왕 7년(881)에 왕사로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봉암사로 들어와 이듬해인 동왕 8년 (882) 세상을 떠났다,

                       헌강왕은 대사의 시호를 지증, 탑호는 적조라 내렸다,



                                                                            < 안내문에서>







                        봉암사 지증대사 탑비   / 국보 제 315호



                        이 비는 신라말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봉암사를 처음 건립한 지증대사의 공적을 찬양하기 위해 신라 경애왕

                        원년(924)에 건립되었다,

                        비문은 신라 말의 학자 고운 최치원(崔致遠)이 지었으며, 글씨는 분황사의 승려 석혜강(釋慧江)이 썼다, 용머리 모양

                        의 비머리(螭首)와 귀부(龜趺)를 완전히 갖춘 비석으로 귀두는 용두형화(龍頭形化) 되었으며 사산비문(四山碑文)으로

                        널리 알려진 비이다,

                        지증대사는 속성이 김씨이고 호는 도헌(道憲)이다. 신라 헌강왕 16년(824)에 출생하여 17세에 부석사로 출가하면서

                        승려가 되었다, 그가 헌강왕 8년(882)에 봉암사에서 향년 59세로 돌아가자 나라에서 시호를 지증(智證)이라 하고, 탑

                        호를 적조(寂照)라 하는 동시에 탑비(塔碑)를 세우도록 하였다,

                        







              옆에서 본 조사전,

























             조사전 옆에서 담 너머로 선원을 본다,








                   희양산문태고선원의 현판을 달고 있다,

                   봉암사는 조계종인데 태고라는 글자로 인해 태고종인가 싶은 생각이 들 수도 있겠다,








                선원 부속 건물,








                  금색전 뒷면엔 대웅전 편액이 달려있다,
















             대웅보전 축면,
























               범종각 뒷편으로 나오면  화장실이 있다,





 



                범종각 뒷편,








                진공문,

                선원의 정문앞을 지나 계곡쪽으로 마애불을 보러 간다,





 












                높지않은 담 너머로 선원이다,








               마애불 가는 길,

















                  좌측으로,

                  계곡미가 아주 빼어나지는 않다,








               중간 우측으로 갈림길이 있다,

               우측 길은 희양산 중턱, 두어채 암자?로 연결되는 길인가 싶다,








               직진한다,








                 저만큼 갈림길이 있다,








               봉암사 마래여래좌상 안내문이 이정표 역할을 한다,

























                상.하로 썩 계곡미가 좋아 보인다고 할 수 없지만,

                이곳 마애불 주변의 경관은 아주 뛰어나다,
























               주변 상부쪽,








             아랫쪽,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 경북도 유형문화제 제121호



                  봉암사 마애보살좌상은 17세기에 조각된 것으로 전해지며 관련 기록에서는 환적 의천(幻寂 義天 16.3~1690) 선사의

                  원불(願佛)이라 한다,

                  높이 4.5m, 폭 4.4m로 국내 마애불 중 비교적 큰 편이다, 머리 주위는 약간 깊게 파서 광배를 겸하는 듯하게 조각하였

                  고 불상을 모시는 방인 감실처럼 만들었다, 머리는 입체적으로 조각하엿으나 몸체는 선으로 가늘게 새겨 조각 수법이

                  다르다, 머리에 쓰고 있는 보석 왕관의 중앙에는 꽃무늬가 있고, 오른손은 위로 틀어 연꽃 가지를 들고 있으며, 왼손은

                  가슴에 얹어 연꽃 가지를 받치고 있다, 결가부좌한 자세이며 무릅이 넓고 높아 안정감이 있다.



                                                                       < 안내문에서>
























                마애불 주변 경관이 좋다,

























                  은퇴(隱退)








                      백운대,

































              돌탑으로 오를 수 있다,








               뒷편에서 바라본 돌탑,

































                 백운대 상부쪽으로 올라가 본다,








               상부로 오르는 길도 없거니와,

               특별한 경관을 보여주지 않는다,








                백운대, 마애불 주변을 둘러보고,

                이번엔 계곡을 좌측에 두고 내려가는 길을 따른다,
















              되돌아 본 마애불쪽,








































              점심 공양을 받기위한 줄이 200m쯤 되어 보인다,

























              공양간,

              줄이 너무 길어 이곳에서 점심을 먹는 것은 포기다,








             이번엔 계곡을 우측에 두고 경내를 지나 내려간다,








                  구덩이 속에서 자라는 소나무,








              이쪽에도 주차 공간이 있다,








             건너편 일주문,








                다리를 건너기 직전,








                  저곳으로 가면?

                  지도를 보면 저곳으로 가도 되겠다.

                  어떤 분은 공양간(불유각)을 지나 산길로 들어서면 등산로가 구불구불 있다 한다, 

                  당일 아래 3기의 부도탑은 몰라서 찾지 않았다, 사진 또한 다른분의 것을 가지고 왔다,








                         힘허당 득통지탑


                         득통 기화(1376~1433)스님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왕사였던 무학대사의 제자이다,  곳곳에 많은 행적을

                         남겼음은 물론이고 조선시대 스님 중 가장 많은 저작을 님기고 있다.  저술로는 <원각경소>  <금강반야

                         경 오가해설의> <헌정론> 등이 유명하다 한다,

                         스님은 1431년(세종13) 이곳 봉암사를 중수하였고 이곳에 주석하면서 <원각경소>를 지은 것으로 알려

                         졌다. 그리고 <금강반야굥 오가해설의>는 금강경과 반야경 해설서로 현재 승려교육의 필수교재라 한다,

                         조선 초기 8각원당형의 탑으로 좁고 길면서 말렵한 형태이다, 기단부는 복련과 양련으로 장식되어 있고,

                         탑신부는 단순한 팔각기둥이며, 상륜부는 기와지붕 모양이다, 전체적으로 단아하면서도 세련된 모양이다,







                      환적당 지경 스님의 부도탑,


                      함허당 득통탑에서조금 떨어진 곳에 조선 중기의 스님인 환적당 지경(1603~1690)스님의 부도탑이 있다,

                      이 탑은 함허당 득통탑을 모방한 것으로 예술적인 면에서 정교함이 조금 떨어진다,

                      환적당 스님은 봉화군 청량산에 들어가 수도하였으며, 이곳 봉암사에서도 주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진대사 (878~956) 원오탑 / 보물 제171호

                  환적당 지경탑을 지나 산길을 조금 가파르게 오르면 비교적 높은 곳에 정진대사 원오탑이 있다,

                  이탑은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신라시대 이래의 기본형인 팔각 원당형을 따른 묘탑이다.

                  전체의 구조는 지증대사 적조탑을 그대로 따랐으며,높이는 5m지대석 너비는 2.9m이다.








               정진대사 원오탑 비

                  이 석비는 봉암사를 증흥한 정진대사의 부도탑 비로서 고려후기의 조형미를 잘 나타내고 있다.

                  귀부와 이수의 형식은 일반적인 방식을 취하였으나 비좌가 두드러지게 큰 것이 특징이다.

                  정상에 화염보주가 뚜렷하게 조각되어 있다.        

                  비의 높이는 2.73m이고 너비는 1.64m로 지증대사 적조탑비와 그 규모가 똑같은 것이 특징이다


















               주차장으로 내려간다,







































































                 봉암사를 둘러보고,

                 이 셔틀버스는 중간 희양분교 앞에서 하차할 승객을 내려주고 우리가 주차한 하괴리 마을앞까지 바로 간단다,

                 선유동천 나들길을 걷기위해 이강년 기념관으로 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