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05

산청 차탄리 비석군

■ 산청 차탄리 비석군 산청읍 차탄리 산청농공단지 정문 조금 못미쳐 도로변에 4기의 비석군이 있다.지금의 차탄마을 앞을 지나는 도로는 산청· 함양간 4차선 길이 생김으로 인해 구도로가 되었다. 산청에 살고 있으면서도 비교적  근래 이곳에 몇 비석이 있음을 알았다. 이 비석이 원래부터 이 자리에 있었다기 보다는 산청농공단지 조성시 옮겨 함께 모은 것으로 비석의 생김새가 예사롭지 않아 소개해 본다. 안내표지판도 없고, 비석의 내용 또한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것이 아니고 비문에 '현감의 공적비' 정도로만 음각되어 있다. 이곳저곳 이 비에 대해 자료를 찾던 중 오규환님이 저술한 산청향토사 420페이지에 수령들의 치적비 또는 선정비에 대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v-13(A)에서 (v-13. 최상.최하급으로 ..

산청의 일상들 2024.02.21

2024년 설날

■ 설날 외손녀와 이곳 저곳 설날에 손녀가 왔다. 손녀는 삼촌을 무척 좋아한다. 같이 잘 놀아주기 때문이다. 설 이튿날 거창 수승대나 우두산 출렁다리를 갈까? 진주 수목원을 갈까? 등등 바람도 쐬고 점심도 먹고 할 목적으로 일정을 제시하여도 집에서 식구들과 게임을 하고싶어 한다. 잠시 시간을 내어 산청공원내 수계정과 환아정을 둘러보고 집안에서 삼겹살 파티로 하루를 보냈다. ▷일정 산청공원 수계정 - 환아정 - 드론 날리기 등등 - 삼겹살 파티 ▣산청공원 산청공원으로왔다. 산청공원에는 수계정과 현충비, 정자 등이 있다. 이곳 수계정의 내력에 대해 잠시 언급해 본다. '과거 이곳에는 수계정이 있었으니 중국의 산음에서 수계한 것과 방불했는데 지금은 정자가 없어졌으니 여기에다 다시 집을 지어 이름을 흥학당이라 ..

집안이야기 2024.02.13

산청 지곡사지 /심적정사. 세진교. 지곡사. 추파당대사 · 한암대사 승탑및 탑비. 심적사. 선녀탕

■산청 지곡사지 / 심적정사, 세진교, 지곡사. 추파당대사 승탑 및 탑비, 한암대사(寒巖大師) 승탑 및 탑비, 심적사. 선녀탕 산청읍 내리, 산청군립공원 웅석봉에서 발원하는 깊은 골짜기에 통일신라시대 창건되었고, 고려시대 선종 5대 산문의 하나로 손꼽히는 대찰이었던 지곡사지가 있다. 현재는 저수지와 농지로 변해 옛 지곡사를 가늠조차 하기 어려운 곳이 되었고, 옛 모습과는 달리 지곡사. 심적사, 심적정사가 중건(없어진 것을 다시 세우는 것)? 창건?되어있다. 이들 지곡사와 심적사의 과거를 현지 안내문, 다음백과, 금강신문, 임병기님의 옛날의 숨결...티스토리 등 주변 인터넷 상에서 접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여 나름 정리해 보았다. ▷가는 길 ▷탐방코스(2024. 2. 9.) 심적정사 - 세진교 - 지곡사..

산청의 일상들 2024.02.13

군산 선유도, 새만금지구

■ 군산 선유도, 새만금지구 대학 다닐때 부터 가깝게 지내던 몇 친구들 모임을 信七七會라 이름하고, 여지껏 1년에 한두번씩 얼굴을 보며 지내고 몇 번 해외여행도 다녀왔다. 이젠 나이가 있어 거의 현직에서 떠났지만 한 친구만 남아 금년 2월 말로 정년퇴직 한다. 또다른 한 친구는 2월 중순께 중국으로 한달살기를 떠난단다. 그래서 겸사겸사 군산 선유도에서 모임을 가졌다. 이곳 선유도는 대교로 이어지기 오래전에 이 친구들과 찾았던 곳으로 당시 군데군데 둘러본 곳이다. 옛 기억을 더듬어 이곳에서 하룻밤을 보낸다. 이튿날 선유도해수욕장 주변을 산책하고 새만금 한국농수산대학 실습장을 둘러보는 것으로 일정을 잡는다. 선유도는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선유봉과 해안산책로. 전망 최고의 대장봉. 선유도 해수욕장과 망주봉,..

신칠칠회 2024.02.01

군산 임피역, 운심사, 발산리 오층석탑과 석등. 구일본인 농장창고, 원형변조, 이영춘가옥

■군산 구 임피역, 운심사. 발산리 오층석탑과 석등. 구일본인 농장창고, 이영춘 가옥 친구들 모임이 있어 군산으로 간다, 모임 약속을 오후 4시간로 잡아 조금 일찍 출발하여 과거 찾아보지 못했던 군산 몇 군데 근대유산을 찾아본다. 폐역이 된 임피역은 조그만 역사공원으로 꾸몄다. 구불길의 경과지이기도 하나 별도로 찾아봐도 되겠다. 운심사은 조그만 사찰로 주변 산세는 좋아보이나 외관을 둘러보기 위해서는 별로 볼게 없다. 발산리 오층석탑과 석등은 발산초등학교 뒷편에 있다. 어디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겼는지의 내력에 대해서는 안내문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영춘 가옥은 군산간호대학 내에 위치하며, 상시 개방하는 것 같다. 학교 교정내에 있으므로 주차등 편리함이 있고 근무하고 있는 직원 또한 친절하므로 해설을 ..

전북지역의 산 2024.01.31

대구 청라언덕 외 대구 근대화 골목투어

■대구 청라언덕. 계산동 성당과 주변 근대골목(계산예가, 이상화고택, 서상돈고택,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구 교남YMCA,제일교회역사관,약령시한의약박물관), 경상감영 주변(대구 근대역사관, 향촌문화관 대구문학관, 희움 일본군 위안부역사관 청라란 푸른 담쟁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언덕 위에 세워진 선교사들의 붉은 벽돌 사택을 푸른 담쟁이가 덮고 있는 곳이라 하여 청라언덕이라 불린다. 청라언덕은 대구의 기독교가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려 정착하고, 지금의 동산의료원이 사회에 봉사하면서 성장한 중심지이다. 대구 근대화의 빛이 태동한 곳이며 지난 100여년간 지역의 역사와 함께 호흡해 온 유구한 시간의 흐름과 놀랄만한 변화의 과정이 녹아있다. 이러한 역사적 움직임을 지금에 다시 보고 느끼고 체험하려는 사람들이 이곳을 ..

경북지역의 산 2024.01.30

광양 서산. 웅방산. 서산 둘레길, 옥룡사지 동백숲과 운암사.

■광양 서산. 웅방산. 서산둘레길, 옥룡사지 동백숲과 운암사. 광양읍 서쪽으로 나즈막한 능선상에 살포시 솟은 서산 (253m )과 웅방산(311.4m)이 있다. 이들 산 사면으로 걷기 좋은 길을 내어 서산 둘레길이라 이름 했다. 서산은 광양읍 서쪽에 위치한다고 하여 서산이라한다. 백두대간 함양과 장수의 경계에 위치한 영취산에서 분지한 호남정맥은 호남지역을 돌고 돌아 이곳 광양땅으로 접어들어 도솔봉과 백운산을 일으키고 망덕포구에서 그 맥을 다한다. 이 호남정맥에서 광양을 감싸고 있는 간맥은 맨 서쪽으로 청소골 깃대봉에서 분지하여 순천과의 경계를 이루며 남으로 계족봉(729.4m)을 일으킨 끝자락 웅방산과 서산이 있고, 도솔봉에서 남으로 분지한 간맥상에 옥룡사지, 중흥산성 등이 있다. 백운산에서 남으로 뻗은..

전남지역의 산 2024.01.21

사천 비토 쑥사귐(갯벌)생태탐방로. 월등도. 국민여가캠핑장. 해양낚시공원

■사천 비토 쑥사귐생태탐방로. 월등도. 국민여가캠핑장(별주부전 테마파크). 해양낚시공원 서포에서 비토섬으로 첫번째 다리(비토교)를 건너면 송도이다. 이 섬은 신우.아르비토 등 중소형 리조트트와, 다양한 외관을 하고 있는 펜션 등이 밀집해 있는 지역으로 근래 주변 해안에 44억원을 들여 1.3km의 생태탐방로를 완공했다. 외지에서 찾기엔 주차 시설이 조금 협소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와, 끝 지점의 마무리가 애매하다. 자연경관보다 주변 펜션, 카페 등 건물 외관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여 이들 주민의 소득향상을 위한 시설 성격이 더 강하게 느껴진다. 비토 본섬에는국민여가캠핑장과 해양낚시공원이 있다. 국민여가캠핑장은 해안가에 탐방데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곳 역시 거리가 길지는 않으나 숲체험길 등과 연계하여 가..

경남지역의 산 2024.01.07

부안 새만금 계화도

■ 부안 새만금. 계화도 포토존 동서가 김제 이서에 살고있다. 포도농사를 짓는데 주 품종은 샤인머스켓이다. 맛이 달착지근한게 한알 한알 먹다보면 그 큰 포도송이가 없어질 때 까지 나도모르게 손이 간다. 동서네 포도농장을 들럴 겸 김제에 갔다. 점심 먹으로 간게 간혹 들러는 변산면 대항리에 있는 김인경 바지락죽집이다. 바지락 초무침, 전, 죽이 우리 입맛에 딱이다. 중식 후 새만금을 가로질러 드라이브 했다. 넓은 벌판에 새로운 길이 나 어디가 어딘지 모르고 이곳저곳 다녔다. 그러다 들런게 계화도이다. 동서가 간혹 사진찍으로 오는 곳에 멈췄다. 새만금 안쪽으로는 다녀본 적도 없어, 귀가 후 카카오지도로 검색해 봐도 현재의 새로난 도로와 간척지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새만금을 둘러보고 고군산군도의 선..

전북지역의 산 2024.01.02

창원 향교

■창원향교 창원향교는 고려 충렬왕2년(1276)에 창건되었다고 하나 가증(加證)할 만한 문헌이 없다. 조선 태조7년(1398)에 360개 향교를 지방에 증설할 당시 건축된 듯하다. 성종13년(1749) 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내상리)에 이건하였다가 영조25년(1749) 정월 9일에 고성상량(告成上樑)하고, 같은 해 3월 3일에 현 위치로 이교봉안(移校奉安)하였다. 1761년 풍화루(風化樓)가 창건되었고, 그 옆에 창건비와 선정비군이 세워져 있다. 창원향교는 대성전을 비롯하여 동무.서무가 있고, 대성전 전면에 명륜당과 동재.서재가 있다. 명륜당 우측편에 전사청, 헌공청, 양현재가 있다.향교 출입문에 하마비와 홍살문, 풍화루가 각각 세워져 있다. 그리고 경내에 공부자 석상을 모셔놓았다. ▷가는 길 ▷탐..

경남지역의 산 2024.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