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의 산 127

상주.영동 백화산 호국의 길 (구수천 팔탄 옛길)

■ 상주.영동 구수천 옛길(상주 백화산 둘레길) 대충 보면 백두대간이 보은과 상주를 경계지으며 속리산 구간을 지나면 고도를 낮춰 상주군내를 통과하여 추풍령으로 연결 된다. 이 상주 구간은 뚜렷한 명산도 없고 고도도 낮아 일반 야산같은 느낌을 주는 곳이다. 상주 화서면 백두대간 상의 봉황산(740.6m) 남동쪽에서 발원하는 이서천이 화동면(삼포리천), 모서면(금계천), 모동면으로 내려와 반계천과 합류하여 석천이 되고, 이 석천은 옥동서원, 반야사 앞을 지나 황간읍 원촌리(월류봉 광장 인근)에서 영동 물한계곡을 발원지로 하는 초강천에 흡수된다. 석천(구수천이라고도 함)은 중간 반야사 옛 터를 기준으로 하여 상류는 상주군에 속하고, 하류는 영동군에 속한다. 상주군에서 모동면 옥동서원에서 반야사까지 구간에 옛길..

경북지역의 산 2022.01.15

대구 가창댐 둘레 숲길, 수성못 둘레길

■ 대구 가창댐 둘레 숲길, 수성못 둘레길 대구 달성군 가창면에 위치한 가창댐은 대구 일부 지역의 식수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저수지 둘레에 철망을 쳐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이 저수지 주변에는 산성산, 앞산, 청룡산, 최정산 등 크고 작은 산들이 있어 이들 산과 적의 연계하여도 되지만, 가창댐 둘레길만 가볍게 걸어도 된다. 가창댐 둘레(숲)길은 가창댐의 규모가 있어 용계교를 출발지로 하여 한바퀴 돌아 오는데 약 7~8km정도, 천천히 2시간 30분정도 소요된다. 경관은 아주 좋다라고 하긴 어렵겠고, 일부 철망 주변은 걷기 불편한 길도 있다. 남는 시간에는 이곳 가창면에서 멀지않은 수성못으로 이동하여 수성못을 한바퀴 둘러보는 것으로 계획을 잡아 본다. ▷ 가는 길 ▷ 탐방코스 용계교 아래 하천변 주차장 -..

경북지역의 산 2022.01.11

달성 현풍 용오름길과 비슬산 둘레길3코스 일부

■ 달성 유가읍 용오름길과 비슬산 둘레길3코스 일부 구 현풍읍에 접하여 있던 유가면이 급격히 도시화 되면서 현풍과 대등하게 읍으로 승격 되었나? 출발지인 용봉천교 주변을 현풍으로 알고 있었는데 지도를 보니 유가읍이다. 구 현풍읍과 신 아파트 단지의 유가읍이 하나의 시가지를 이뤄 웬만한 소도시 같은 느낌이다. 관기봉쪽에서 발원하는 용봉천이 용봉마을 주변 농지에 용수를 제공하고 잔여 하천이 용수폭포를 거쳐 유가읍으로 흘러들어 현풍천에 합류된다. 유가읍 용봉천교 주변에서 상부 용봉마을로 이어지는 편도 약 3.5km의 하천 주변에 길을 내고 기존 농로와 연결하여 용오름길로 이름했다. 도시주변산책로, 등산로, 농로 등 다양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길이며 주변 경관도 비교적 좋다. 비슬산과 대견산을 발원지로 하여 ..

경북지역의 산 2022.01.03

예천 석송령, 초간정원림, 소백산하늘자락공원, 용문사

■ 예천 석송령, 초간정원림, 소백산하늘자락공원, 용문사 예천 동북부 감천면쪽 볼거리로는 석송령, 예천온천, 예천천문우주센타등이 서로 인근에 있으나 예천온천은 조그만 온천으로 대중목욕탕정도의 규모로 온천욕이 아니면 관광지로는 볼게 없다. 용문면쪽으로 이동하면 용문면소재지내 금당실마을이 있으나 여느 한옥마을같이 오목조목한 맛은 없어 차량으로 한바퀴 대충 둘러보고 초간정으로 이동하였다. 소백산하늘자락공원은 양수발전소 상부댐 주변의 공원으로 전망대에 오르면 사방으로 조망이 좋고 상부댐을 한바퀴 도는 산책로가 조성 되어있어 이곳을 탐방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용문사는 사찰의 면적이 그리 넓지않으나 여러채의 건물이 들어서 있고, 여러 태실과 연결되어 이를 찾아보는 것도 고려해 볼만 해 보인다. 오늘은 하늘자락공..

경북지역의 산 2021.10.29

예천 삼강주막과 쌍절암 생태숲길.

■ 예천 삼강주막과 쌍절암 생태숲길 예천지역은 여러해 전 회룡포와 주변 산행을 하고 삼강주막을 지나친 적은 있지만 그 외 지역은 찾아보지 못했다. 삼강주막에서 삼수정까지 낙동강변을 따라 쌍절암 생태숲길이 조성되어 있다길래 이 길을 걷고, 여타 예천지역 몇 군데 둘러보는 것으로 일정을 잡아본다. 예천군엔 크게 보아 낙동강 권역으로 삼강주막과 강문화 전시관, 회룡포, 용궁역, 황목근, 선몽대를 포함하며, 동부권역으로는 용문면의 석송령, 예천온천, 예천천문우주센타를 들 수 있다. 용문면을 중심으로 백두대간 권역에는 곤충생태공원, 용문사, 하늘자락공원, 명봉사 (태실), 초간정원림, 금당실마을을 들 수 있다. 쌍절암 생태숲길을 걷고 여타 하루일정으로 이곳을 다 둘러볼 수 없어서 여타지역은 석송령, 용문사 권역을..

경북지역의 산 2021.10.26

성주 선비산수길 가야산 에움길

■ 성주 선비산수길 가야산 에움길 가야산 에움길 들머리까지 대중교통을 이용해 갈 수 있을까?에움길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에는 열악한 편이다.  가야산 에움길이 가천면 법전2리에서 출발하여 수륜면 소재지 청휘당에서 마무리 되므로(또는 역순) 대중교통으로 접근하여 가야산 에움길을 걷기 위하여는 수륜면에서 가천면까지 버스로 이동하고, 가천면 소재지에서 법전2리까지 군내버스로 이동하여야 한다. 물론 가천면에서 출발하여 나중 수륜면에서 가천면 소재지로 버스를 이용해도 된다.수륜면에서 10시 30분(버스 시간이 40분이나 10분 정도 빨리 왔다.) 버스로 가천 버스정류장까지 정확히 10분여 소요되었고, 가천 버스정류장에서 10시 50분발 법전리행 군내버스를 이용하니 시간상 잘 맞아 떨어졌다. 법전2리 에움길 들머리까..

경북지역의 산 2021.05.24

의성 둘러보기 / 조문국박물관. 조문국사적지. 탑리 오층석탑. 산운생태공원과 산운마을. 수정사. 빙계계곡

■ 의성 둘러보기 / 조문국박물관. 조문국사적지. 탑리 오층석탑. 산운생태공원과 산운마을. 수정사. 빙계계곡 의성군의 주요 관광지는 의성읍을 중심으로 북쪽 지역에 고운사와 사촌마을을, 남동쪽 지역으로 금성면의 조문국 유적. 오층석탑. 산운마을, 사곡면의 산수유마을. 가음면의 빙계계곡을 들 수 있겠다. 중앙고속도로 서쪽 지역엔 안계면을 중심으로한 여러면에 산재 해 있는 소소한 관광지도 한번쯤 찾아볼만 하겠으나 인터넷으로 의성 가볼만한 곳을 검색해보면 주요 관광지로 꼽히는 곳이 별로 없다. 오늘은 오전 일정으로 고운사와 고운사 천년숲길을 걷고, 오후엔 주로 의성면 남쪽인 금성면 일원을 중심으로 몇 군데 둘러보는 것으로 일정을 잡아본다. ▷ 가는 길 주로 금성면 일원과 그 주변을 둘러보는 일정이다. ▷ 탐방코..

경북지역의 산 2021.05.07

의성 고운사 천년숲길

■ 의성 고운사 천년숲길 고운사는 의성 등운산 자락 송림 우거진 곳에 자리한 사찰이다. 들어가는 입구 약 1 km구간의 숲길이 오래되고 아름다워 천년숲길로 이름했나 보다. 이 길만 걷기에는 길이가 짧은게 아쉽지만 적의 등운산이나 인근의 갈라산과 연계하거나 아님 의성지역 여타 관광지와 연결시켜 둘러보아도 하루 일정이 되겠다. 오늘 의성 일원 일정 중 최치원문학관과 고운사. 숲길을 소개하고 나머지 일정은 별도로 포스팅하고자 한다. ▷ 가는 길 ▷ 탐방코스 (2021. 4. 24.) 최치원문학관 - 고운사 (- 조문국 박물관 - 조문국 사적지 - 탑리 오층석탑 - 산운생태공원과 산운마을 - 수정사 - 빙계계곡) ▷ 탐방후에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157 (구계리 767-3) 고운사로 가는 길목에 있는 건물이다..

경북지역의 산 2021.04.27

달성 둘러보기 4 / 화원유원지 화원동산과 사문진 주막촌

■ 달성 둘러보기 4 / 화원유원지 화원동산과 사문진 주막촌 화원동산과 사문진 주막촌을 둘러볼까 하고 이곳 화원유원지에 왔다. 화원동산은 야트막한 동산으로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 있고 낙동강변에 데크 로드가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는 주민이 제법 많다. 사문진 주막촌은 규모는 작은편이지만 나름 운치가 있으나 운영시간이 11시 30분 부터 오후 7시 까지이다. 당일 화원유원지에 도착한 시간이 6시 40분, 화원동산 일부를 거쳐 낙동강변 데크로드를 걷고 사문진 주막촌으로 되돌아 오니 7시 20분 경이다. 사문진 주막촌에서 대충 저녁을 때울까 했는데 이미 마치는 시간이 지났다. ▷ 가는 길 ▷ 탐방코스 (옥연지와 송해공원 - 용문사 - 대구수목원 - 남평문씨대리세거지 - 마비정벽화마을) - 화원유원지내 화원동산과 ..

경북지역의 산 2021.04.23

달성 둘러보기 2 / 용연사. 대구수목원. (남평문씨 세거지. 마비정 벽화마을. 화원동산과 서문진주막촌)

■ 달성둘러보기 2 / 용연사. 대구수목원. 오늘 주 목적지는 옥연지 송해공원과 둘레길이다. 옥연지 능선길을 걸을까도 생각하다 그것보다는 가 보지않은달성지역 몇군데를 둘러보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아 일정을 변경한다. 동선으로 본다면 송해공원에서 용연사. 남평문씨세거지와 마비정벽화마을. 대구수목원. 옥포유원지로 방향을 잡은게 거리상 쬐끔유리할 듯 하다. ▷ 탐방코스 (2021. 4. 18.) (송해공원) - 용연사 - 대구수목원 - (남평문씨 세거지 - 마비정 벽화마을 - 화원동산과 서문진 주막촌) ▷ 탐방후에 ▣ 비슬산 용연사 용연사는 송해공원에서 비슬산쪽 몇km거리에 있다. 절에서 가까운 거리에 크다라고는 할 수 없지만 적의 주차장이 조성되어 있고 일주문이 있다. 일주문에서 가까운 거리에 용연사가 위치..

경북지역의 산 202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