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역의 산 248

담양 문학 기행 2 / 소쇄원. 한국가사문학관. 식영정.

■ 담양 문학 기행 2 / 소쇄원. 한국가사문학관. 식영정 담양문학기행 오후 일정으로 소쇄원에 왔다, 소쇄원, 한국 가사문학관과 식영정을 둘러보는 일정이다. ▷ 가는 길 ▷ 탐방코스 소쇄원 - 한국가사문학관 - 식영정 (2021. 6. 19.) ▷ 탐방후에 ▣ 소쇄원 소쇄원 주차장이다. 주차요금은 없지만 소쇄원 입장료는 있다. 소쇄원 입구 입장료는 어른 2,000원. 할인과 무료입장 대상도 있다. 들머리 대숲이 좋다. 소쇄원(瀟灑園)은 자연과 인공을 조화시킨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원림으로 우리나라 선비의 고고한 품성과 절의가 풍기는 아름다움이 있다. 양산보(1503~1557) 나이 15세에 한양으로 올라가 조광조의 제자가 된다. 스승인 조광조가 유배를 당하여(기묘사화) 죽게되자 출세에 뜻을 버리고 이곳에..

전남지역의 산 2021.07.02

담양 문학 기행 1 / 모현관과 미암박물관. 면앙정. 명옥헌원림.

■ 담양 문학 기행 1 / 모현관과 미암박물관. 면앙정. 명옥헌원림. 문학기행 7월 일정으로 담양을 찾았다. 이곳 담양은 정자기행이란 이름으로 예전에 찾아본 적이 있는 곳으로 초행은 아니다. 미암 유희준 선생과 관련된 모현관, 송순의 면앙정가로 알려진 면앙정, 오희도 선생의 명옥헌원림, 소쇄원과 가사문학관, 식영정을 둘러보는 일정으로 사진의 양이 많아 1,2편으로 구분했다. ▷ 가는 길 우측 상단 장산리에 미암박물관이 있음. ▷ 탐방코스 미암박물관. 모현관. 연계정 - 면앙정 - 중식(담양애꽃) - 명옥헌원림. (2021. 6. 19.) ▷ 탐방후에 미암 유희준(1513~1577)은 선조초년의 명신으로 본관은 선산(善山), 호는 미암(眉巖), 별호는 연계(漣溪/물놀이 연)이다. 하서 김인후와 함께 모재 ..

전남지역의 산 2021.07.01

신안 임자도 둘러보기 / 진리항. 대광해수욕장과 튜립공원. 하우리항. 어머리해수욕장과 용난굴. 염전. 전장포항

■ 신안 임자도 둘러보기 / 진리항. 대광해수욕장과 튜립공원. 하우리항. 어머리해수욕장과 용난굴. 염전과 대두마을. 전장포항. 신안군은 무안군과 목포 서쪽 1004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군으로, 군청은 압해도에 있다. 윗쪽으로 부터 무안 해제면과 이웃한 지도에서 사옥도를 거쳐 증도까지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임자도는 금년(2021년) 3월 임자 1.2교 개통으로 육지화 되었다. 목포시에서 대교로 이어진 압해도는 2020년 천사대교 개통으로 자은도. 암태도. 팔금도. 안좌도와 연결된다. 비금도. 도초도. 우이도는 홍도 갈 때 들러거나 볼 수 있는 섬이며, 장산도.하의도. 신의도는 신안군의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아직 미답이다. 오늘은 임자1.2대교로 연결된 임자도 이곳 저곳을 둘러본다. 대광해수..

전남지역의 산 2021.06.10

강진 가우도

■ 강진 가우도 강진 문학기행 오후 일정으로 백련사. 다산초당. 다산박물관을 둘러보고 귀가길에 잠시 들런 가우도이다. 이곳은 2015년 11월 강진 천태산 등산을 마치고 한바퀴 돌아본 적이 있으며 본 블로그에 "강진 가우도 함께 해(海) 길"로 소개한 바 있다. 당시 중저출렁다리쪽을 들머리로 했으나 오늘은 망호출렁다리를 들머리로 하여 원점회귀 했다. ▷ 가는 길 ▷ 탐방코스 및 탐방안내도 망호출렁다리 - 영랑쉼터 - 중저출렁다리 입구 - 가우도 마을 - 망호출렁다리 (좀 빠른 걸음으로 약 45분 / 2021. 5. 29) ▷ 탐방후에 망호출렁다리쪽 들머리. 제법의 주차장이 조성되어 있고(주차료 없음) 약간의 상가시설이 있다. 들머리 화장실 옆 통통 라이브 강진, 신청곡을 틀어 준다. 망호출렁다리. 망호출..

전남지역의 산 2021.06.07

강진 문학기행 2 / 백련사. 다산초당. 다산박물관.

■ 강진 문학기행 2 / 백련사. 다산초당. 다산박물관. 다산박물관, 다산초당, 백련사를 연계하여 도보로 둘러본다면? 첫째 다산박물관에서 출발하여 다산초당(및 만덕산)을 경유하여 백련사까지 갔다가 같은 길로 되돌아 올 수 있겠고, 아님 백련사에서 도로를 따라 다산박물관 주차장으로 되돌아 와도 된다. 이 경우 백련사 주차장에서 다산박물관 주차장 까지의 거리는 2.4km쯤 된다. 두번째 다산박물관과 백련사 사이를 편도로 걷는다면 백련사에서 출발하는 것이 수월하다. 짧은 오르막을 올라 해월루 능선에 오르면 이후 다산박물관 까지는 대체로 내리막 지형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승용차를 이용했다면 회수가 불편하다. 혜장스님은 해남출신이다. 대흥사로 출가해 백련암등에 거처하였으며 차와 유교경전에도 해박한 지식을 가졌다..

전남지역의 산 2021.06.02

강진 문학기행 1 / 시문학파기념관. 영랑생가. 세계모란공원. 강진만생태공원

■ 강진 문학기행 1 / 시문학파기념관. 영랑생가.세계모란공원. 강진만생태공원 란 주제로 찾아본 강진이다. 오전엔 김영랑의 생애와 시문학 위주로 강진읍 소재지 내에 위치한 시문학파기념관, 영랑생가, 세계모란공원을 둘러보고, 오후엔 다산 정약용 선생의 정신세계를 찾아 백련사와 다산초당, 다산박물관을 둘러보는 것으로 일정을 잡는다. 짜투리 시간에 강진만생태공원과 가우도를 잠시 둘러보는 것으로 한다. 인제대학교 인문도시 지원사업에서 주관했다. ▷ 가는 길 ▷ 탐방코스 주차장 - 탑골샘 - 시문학파기념관 - 영랑생가 - 세계모란공원 - 강진만 생태공원 (2021. 5. 29.) ▷ 탐방후에 강진군 통합관광안내소 앞에 주차장이 조성되어 있다. 영랑생가에서 100여m 거리로, 강진군청과 이웃하고 있다. (주차료 등..

전남지역의 산 2021.06.01

해남 만대산. 금강산. 우정봉

■ 해남 만대산 금강산 우정봉 (만대산 493.1m, 금강산 488.3m) 해남의 진산이다. 산의 이름이 북한의 금강산(1,638m)과 같으며, 이는 금강산에 버금가는 아름다운 산경을 하고 있다하여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나 비교 자체가 과해도 한참 과하다. 산의 높이가 낮고 대체로 육산이라 큰 힘이 드는 곳은 아니나, 거리(대충 9km 전후)에 비해 은근히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금강산 쪽으로 옛 산성이 있어 또한 볼거리다. ▷ 가는 길 ▷ 탐방코스 금강저수지 둑 아래 주차장 - 만대봉 - 금강산 - 산성터 - 우정봉 - 금강저수지 상부 주차장. (점심시간 약 50분 포함 6시간 30분 소요 / 2021. 5. 13. ) 아래 탐방안내도 제3코스를 보면 금강저수지 입구 - 만대산 - 금강산 - 미암바위 - ..

전남지역의 산 2021.05.27

여수 금오도. 연도.

■ 여수 금오도. 연도. 연도행 첫배는 오전 6시 20분 여수 여객선터미널을 출발하여 금오도 여천항, 우학항을 거쳐 7시 50분경 안도항에 도착 후, 서고지 마을을  거쳐 8시 10분 최종 목적지 연도 역포항에 도착한다. 2항차는 오후 2시 30분 여수항을 출발하여 오후 4시 20분경 역포항에 도착하여 하.승선 후 여수로 되돌아 간다. 따라서 연도내에서 시간은 오전 배편으로 연도에 도착한 8시 10분 부터 오후 나오는 배편인 ..

전남지역의 산 2021.05.16

여수 금오도. 안도.

■ 여수 금오도. 안도. 여수 금오도 비렁길 전 코스와 안도. 연도 둘레길을 걸을 경우 부지런히 걷는다면 3일 정도면 되겠지만 보통 4일은 잡아야 할 것 같다. 좀은 빡시게 비렁길 전 코스와 안도 상산둘레길을 걷는데 2일, 연도에서 하루(일정은 여유가 있지만 배편이 하루 두번 밖에 없다.)를 잡으면 3일만에 둘러볼 수는 있겠다. 금오도 비렁길은 5코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코스별 거리는 3.5km 정도(1코스는 5km)로 총 길이는 18.5km, 8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금오도 비렁길 1코스와 매봉 등산코스는 두번 다녀온 적이 있으며, 1박 2일 코스로 금오도를 둘러 본다면 어느 것이 나을까 궁리하다 안도와 연도 위주로 일정을 잡아본다. 첫날 돌산도 신기항에서 차량을 가지고 금오도로 들어가 교량으로..

전남지역의 산 2021.05.14

해남 위봉. 두륜봉

■ 해남 위봉. 두륜봉 두륜산 산행은 일반적으로 오소재를 들머리로 하여 정상에 오른 후 대흥사로 하산하거나 대흥사 원점회귀 산행하는 경우가 많다. 대흥사를 가운데 두고 고계봉, 노승봉, 가련봉, 두륜봉, 도솔봉, 향로봉이 연꽃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정상은 가련봉이다. 구름다리가 있는 두륜봉에서 동남쪽으로 뻗은 지능선 끝에 위봉과 투구봉이 있다, 투구봉의 위용이 제법이어서 몇 년 전부터 이곳을 한번 올라야지 하면서도 찾지 못하다가 친구들과 번개팀을 꾸렸다. 차츰 노령으로 접어드는 나이인지라 투구봉은 위봉에서 건너다 보는 것으로 대신했다. ▷ 가는 길 위봉으로 오르는 들머리는 카카오지도상 쇄노재에서 성도사 방향으로 4~5분 도로를 따라오르다 좌측으로 90도 급하게 휘어지는 곳에 있다. 이정표는 없으나 야생동...

전남지역의 산 2021.05.10